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세기 지식인 유만주(兪晩柱)의『역어유해(譯語類解)』읽기와 재구성

이용수 54

영문명
Yu Manju’s Reading and Reorganization of Yeokeoyuhae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김하라(Kim Hara)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5호, 291~33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8세기 후반 서울에 거주한 20대의 양반 남성 유만주는 『역어유해』(譯語類解)를 저본으로 삼아 「속어명물해」(俗語名物解)라는 어휘집을 만들었다. 이 목록에는 『역어유해』의 하책에 수록된 한어(漢語) 어휘 2,066건 중 392건이 선별되어 저본과는 다른 체재와 표기법에 따라 기재되었다. 유만주는 저본을 재구성하여 Ⅰ. 화곡(禾穀)․채소(菜蔬)․수목(樹木)․화초(花草)․비금(飛禽)․주수(走獸)․곤충(昆蟲)․수족(水族) Ⅱ. 진보(珍寶)․직조(織造)․재봉(裁縫)․전농(田農)․기구(器具)․안비(鞍轡)․주선(舟船)․차량(車輛)․잠상(蠶桑) Ⅲ. 기희(技戱)․쇄설(琑說)의 순으로 어휘를 분류하고 나열했다. 이와 같은 「속어명물해」의 어휘 배열방식을 통해, 인간의 문화를 크게 유형과 무형의 범주로 나누고, 유형의 문화에 속한 하위개념으로 일상생활과 관련된 동식물 및 도구를, 무형의 문화에 속한 하위개념으로 민속과 언어 등을 설정하고 있는 편자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한어 표제어에 해당하는 고유어 의미를 한글로 표기한 저본과 달리, 유만주는 한자의 음과 뜻을 빌리거나 한글을 혼용하는 방식으로 고유어를 표기했다. 그는 거의 대부분의 어휘를 한문으로 표기한바 「속어명물해」에서 한글이 사용된 예는 63건에 불과하다. 유만주가 사용한 한글은 그 음가를 한문으로 표기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처럼 고유어 음운을 선별하여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은 중국어와 조선어가 음운체계에서 상당히 다르다는 자각과 연결되었다. 「속어명물해」는 18세기 조선의 지식인 유만주의 세계가 어떤 사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었는지 추정하는 단서가 된다. 또한 유만주는 이 목록을 만드는 동안 일상의 사물들이 한어와 조선어로 각각 어떻게 불리는지 검토하며 한문과 한글의 이질성을 구체적으로 발견하는 계기를 만났다. 그는 자국의 고유어에 대한 학문적 문제의식을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갔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조선의 사대부 지식인으로서 한문을 전적으로 사용하는 유만주가 역관(譯官)의 수험서인 『역어유해』를 검토하며 얻게 된 효과 중 하나였다.

영문 초록

Yu Manju兪晩柱, a surplus intellectual of Joseon, read Yeokeoyuhae譯語類解and extracted to make a list “Sogeomyeongmulhae”俗語名物解 in the late 18th century. “Sogeo” means local language, ‘Korean’ in this case, and “myeongmulhae” means explanations of name of objects. Unlike Yeokeoyuhae, a Chinese vocabulary dictionary for middle layer Korean translators, the list is a lexicon of 392 names of things organizing Yu Manju’s everyday life. He changed the contents of the book like this: 󰊱grains, vegetables, trees, flowers, birds, four-footed animals, insects and bugs, aquatic animals, 󰊲jewelry, weaving, sewing, agriculture, living tools, harness and saddle, ship, vehicle, sericulture, 󰊳folk play, idiom. From this, we can find a viewpoint that divides material culture and intangible culture and a perspective that divides the material culture into natural product useful to humans and artificial tools for everyday life. Yeokeoyuhae is described in Chinese-Korean transliteration pairs system. Chinese headwords is transcribed in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meanings in Hangul. But Yu Manju used Hangul in a limited way to write Korean meaning. In his transcription system, he mainly depended on Chinese characters instead of Hangul. This transcription of borrowed characters was common to intellectuals who mainly use Chinese characters at the time. He transcribed only 63 descriptive Korean words in Hangul. These 63 words contain phonemes that were difficult to be written in Chinese. He confirmed that Korean and Chinese were differen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phonemes that are difficult to be represented in Chinese. This was an opportunity for him to conduct an academic review of his native languag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유만주의 『역어유해』(譯語類解) 읽기와 「속어명물해」(俗語名物解) 쓰기
Ⅲ. 「속어명물해」의 체재와 표기법이 갖는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하라(Kim Hara). (2017).18세기 지식인 유만주(兪晩柱)의『역어유해(譯語類解)』읽기와 재구성. 국문학연구, (35), 291-333

MLA

김하라(Kim Hara). "18세기 지식인 유만주(兪晩柱)의『역어유해(譯語類解)』읽기와 재구성." 국문학연구, .35(2017): 291-3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