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재 조우인의 매호 복거와 <매호별곡(梅湖別曲)>의 창작의식

이용수 21

영문명
Cho Woo-In s time in Maeho and his literary work: MaehoByeolgok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신현웅(SHIN, HYUN WOONG)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5호, 233~26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이재(頤齋) 조우인(曺友仁, 1561~1625)의 가사 작품 <매호별곡>(梅湖別曲)의 창작의식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매호별곡>(梅湖別曲)은 경상북도 상주 매호에 복거하면서 느낀 설렘과 그 생활에 대한 소회를 노래한 작품이다. 여기에 내재한 창작의식을 규명하기 위해 그간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자료를 폭넓게 취하여 조우인의 매호 복거와 생활의 실상에 접근하면서, 작품 해석이 전기적 사실에 견인되지 않도록 작품론의 관점에서 <매호별곡>의 구성과 내용을 자세히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의 네 가지 성과를 내었다. 첫째, 조우인의 매호 이주 시기가 54세 전후로 밝혀졌다. 이주 상한선은 가깝게는 1615년, 멀게는 1613년이며 하한선은 1616년이었다. 그 결과 모든 선행연구에서 이주 시기로 본 1623년은 인조반정 후 낙향 시기임이 밝혀져 창작의식에 접근하는 데에 새로운 시각이 마련되었다. 창작의식을 규명하면서 <매호별곡>의 창작 시기가 1620년 이전이라는 잠정적 결론에도 이르렀다. 둘째, 작품론의 관점에서 <매호별곡>이 정연한 짜임을 갖추고 시상이 유기적으로 전개되는 작품으로 밝혀졌다. 작품은 서사, 본사1(전단: 9행, 후단: 33행), 본사2(전단: 7행, 후단: 35행), 결사로 구분되었다. 42행으로 길이가 동일한 본사1과 본사2에서 예비적 진술 성격을 띠는 전단은 짧게, 상대적으로 구체적 진술을 담은 후단은 길게 하여 시상 전개 방식이 유사하게 운용되었다. 셋째, <매호별곡>은 설렘, 기대, 반추, 다짐이라는 일련의 시상이 전개되는 가운데, 본사1에 잠재된 불우의식이 본사2에서 간간이 표출되고 있는 작품이었다. 화자의 내면에 자리한, 이러한 복잡한 마음이 여러 전기적 사실을 통해 벼슬살이에 대한 불만, 집안 내력에 대한 위축된 심리 등에서 형성되었다는 점이 규명되었다. 마지막으로, 화자가 성찰과 반추를 거쳤음에도 결사에 이르러 앞날에 대해 부정(不定)한 태도를 취하고, 결사가 1행의 결어로 이루어진, 완정하지 않은 구성을 갖추고 있는 점이 해명되었다. 매호정사가 건립된 후에 창작한 칠언율시 <호사가 새로 완성되어 보내드리다>(湖舍新成寄呈)와 <매호별곡>의 의식을 비교한 결과, 그것은 조우인이 성찰을 통해 이전의 삶을 ‘迷’라는 어휘로 범주화했지만 앞으로의 삶은 아직 ‘不迷’로 범주화하지 못한 시점에 <매호별곡>을 창작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창작의식은 조우인에게 가사가 고민과 성찰의 과정에서 마음을 정리하는 장르로 인식되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Cho Woo-In s time in Maeho and his literary work: MaehoByeolgok(梅湖別曲). Maeho is the lake at Sangju-si(尙州市) in Gyeongsang- buk-do Province(慶尙北道). Cho Woo-In(曺友仁, 1561~1625) wrote MaehoByeolgok, the poetic speaker of which expresses his excitement and impressions for coming and living at Maeho. First, the time to start living at Maeho was examined. It was known that the time was 1623 CE, but it was inferred that he set up house there before 1616 and wrote MaehoByeolgok provisionally before 1620 from his other works and the materials for him. Second, it was analyzed that MaehoByeolgok s composition is well organized and its poetic sentiment unfolds in a natural way. The sentiment starts from the excitement and goes through the expectation, the self-examination, the rumination, and reaches to the promise. Lastly, examining his consciousness for being emotionally deprived and the depression in MaehoByeolgok, it was found that it had derived from the dissatisfaction for his official life, negatively thought for his family, etc. As a result, that means MaehoByeolgok was the work of making up mind for him, and he regarded the Gasa as the genre, which expressed the worries and self-examination for his life.

목차

Ⅰ. 들어가기
Ⅱ. 매호 복거와 작품 창작 배경
Ⅲ. <매호별곡>에 나타난 매호에서의 삶
Ⅳ. <매호별곡>에 내재한 창작의식
Ⅴ.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현웅(SHIN, HYUN WOONG). (2017).이재 조우인의 매호 복거와 <매호별곡(梅湖別曲)>의 창작의식. 국문학연구, (35), 233-264

MLA

신현웅(SHIN, HYUN WOONG). "이재 조우인의 매호 복거와 <매호별곡(梅湖別曲)>의 창작의식." 국문학연구, .35(2017): 233-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