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대 중기 미가와 인구, 그리고 화폐

이용수 53

영문명
On the grain price, population, and the currency in the middle of the Qing Dynasty : Review of international researches on the grain price fluctuation during the Qinglong Emperor’s reign in the Qing Dynasty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홍성화(Hong, Sung-hwa)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9권, 5~54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청대 건륭년간의 물가 상승에 대한 원인에 대해서 여러 학설들을 정리하였다. 초기 彭信威와 全漢昇는 주로 재정 지출과 인구 증가를 각각 원인으로 상정하였다. 그 뒤에는 내재적인 요인보다는 외부적 요인, 특히 세계경제와의 연동 속에서 은유입을 주요 원인으로 파악하는 견해가 점차 통용력을 얻게 되었다. 다만 건륭년간을 두 시기로 나누어서 1736~1775년은 인구증가가 화폐증가보다 빠르고 화폐증가가 농업성장보다 빠른 시기여서 경제적으로 불황기였으며, B期인 1776~1795년은 화폐증가가 농업성장보다 빠르고 농업성장이 인구증가보다 빠른 시기로 호황기라고 보았다. 반면 岸本美緖는 이에 대해서 건륭초기 역시 호황기였다는 논지에 기반하여 이에 반박하였다. 黑田明伸을 비롯하여 폰 글란, 彭凱翔 등의 1990년대 이후의 연구들은 상당히 많은 경우, 다시 해외로부터의 은유입을 강조하기 보다는 중국 사회의 내부 질서 문제로 다시 복귀하는 듯한 인상을 갖게 한다. 현재의 시점에서 청대 물가 변동의 원인을 단순히 인구증가나 화폐 증가라는 식으로는 물가변동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이해했다고 말하기 불충분해진 것만은 사실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다만 그러한 복잡성을 낳은 청대 중국사회가 어떠한 시장 메커니즘을 갖고 있는지는 아직까지도 규명해야 할 요소가 많이 남아 있다는 점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ummarizes several theories about the causes of inflation during the Qinglong Emperor’s reign in the Qing Dynasty. In the early days, Peng xinwei(彭信威) and Han-Sheng Chuan(全漢昇) supposed financial expenditure and population growth were mainly attributed to the causes, respectively. After that, the view of assuming that the inflow of silver as the main cause of the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the internal factors, especially in the connection with the global economy gained popularity. However, as the Qinglong year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hase of 1736-1775 was the economic recession because the population growth was faster than currency increase and the currency increase was faster than agricultural growth. The other B period of 1776-1795 was considered as a booming period vice versa. On the other hand, Kishimoto Mio(岸本美緖) refuted the claim based on the argument the early period of the Qinglong year was also a booming period. Most researches since the 1990s, including Kuroda Akinobu(黑田明伸), Richard von Glahn, and Peng kaixiang(彭凱翔), showed the trend of turning to the internal order issue in Chinese society rather than emphasizing the inflow of silver from overseas. At the current time, it is fact that it is not enough to say that the cause of the inflation in the Qing Dynasty indicated simply to population growth and currency increase in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economic fluctuation. However, it is required to acknowledge that there are still many factors to be identified as to what kind of market mechanism in the Qing Dynasty, which produced such complex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청대 미가변동에 관한 초기 연구
Ⅲ. 경기변동에 관한 林滿紅와 岸本美緖의 논쟁
Ⅳ. 陳春聲, 黑田明伸, 彭凱翔, 폰 글란의 연구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화(Hong, Sung-hwa). (2020).청대 중기 미가와 인구, 그리고 화폐. 동국사학, 69 , 5-54

MLA

홍성화(Hong, Sung-hwa). "청대 중기 미가와 인구, 그리고 화폐." 동국사학, 69.(2020): 5-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