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6·25전쟁과 한국 보건의학계 및 보건학의 형성

이용수 140

영문명
The Korean War and the formation of Korean ‘Public Health’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동원(Lee, Dong-won)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69권, 339~37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6 · 25전쟁을 전후하여 한국 보건의학계와 보건학이 형성되는 과정을살펴봄으로써 한국 보건의료체계의 역사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기존의연구들은 보건의료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로 주로 1960년대 이후를 주목했는데, 이는 일정하게 현실을 반영한 것이지만 6 · 25전쟁의 영향력과 1950년대의 변화를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글은 6 · 25전쟁 이후 보건의학계와 보건학의 형성 과정을 미군정과 유엔군 및 한국정부의 공중보건(Public Health) 활동과 미국에서 유학한 한국인 의사들의 활동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범석, 윤유선, 백행인, 주인호, 김인달, 양재모, 권이혁, 구연철, 김명호, 방숙, 박재빈 등 한국인 의사들이 한국 보건의료체계 형성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들은 일제강점기에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나 경성, 세브란스, 대구의학전문학교에서 공부하여 일본식의 ‘이론 중심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해방과 6·25전쟁을 계기로 현장에서 임상 경험을 쌓았고, 주로 미국 유학을 통해 ‘임상 중심 교육’이라 할 수 있는 미국식 보건학을 체계적으로 학습했다. 이들은 1950년대 중후반에 이루어진 서울의대의 미네소타 프로젝트보다 더 앞서서 미국식 보건학을 적극적으로 수용, 도입하면서 보건의학계의 1세대로서 주요 의과대학의 예방의학교실 및 보건대학원을 이끌었다. 이와 함께 미국식 공중보건학(public health)이 한국에 확고하게 자리 잡게 된 계기는 보건진료소 및 보건소의 확산과 이를 뒷받침한 공중보건원의 창설이었다. 1953년 9월 공중보건원(School of Public Health, Korea)의 창설은 전국 단위에서 크게 증가한 보건진료소와 보건소를 뒷받침할 보건의료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공중보건원을 통해 미국식, 혹은 WHO식 ‘공중보건’ 개념이 전파되었고, 이렇게 전파된 ‘공중보건’ 개념은 보건진료소 및 보건소에서의 보건의료 임상 활동을 통해 현실에서 구현되었다. 따라서 공중보건원은 한국의 보건의학계가 기존의 일본식 ‘공중위생’ 개념을 바탕으로 미국식 ‘공중보건’ 개념을 수용하여 한국식 보건학으로 자리 잡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한 셈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Korean health and medical system by looking a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orean health and medical community and health scienc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noted the post-1960s when the foundation of health and medical care was laid, which reflects the reality to some exte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and the change of the 1950s were relatively neglected. Therefore, this article looked at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health and medicine in the connection with the public health activitie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 forces and Korean doctors who studied abroad. I tried to understand in detail what role Korean doctors played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health care syste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studied at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s School of Medicine, Kyungsung, Severance, and Daegu Medical College, and received Japanese-style ‘theory-oriented education’. In addition, they gained clinical experience in the field af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nd systematically studied American-style health science, which can be called ‘clinical-oriented education,’ mainly through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They actively embraced and introduced American-style health science ahead of the Minnesota projec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leading the preventive medicine departments and graduate schools of health at major medical schools as the first generation of health medicine. Along with this, the reason for the firm establishment of American-style public health in Korea was the spread of public health dispensaries and centers, and the creation of th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that supported it.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in September 1953 was aimed at fostering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to support the nationwide increase in public health dispensaries and centers. The concept of American or WHO-style ‘public health’ has been disseminated through th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and the concept of ‘public health’ spread in this way was realized in reality through health care clinical activities in public health dispensaries and centers. Therefore, th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greatly contributed to the Korean health and medical community adopting the American concept of ‘public health’ based on the existing Japanese concept of ‘public hygiene’ and establishing itself as a Korean-style health science.

목차

I. 머리말
II. 미군정의 점령통치와 한국인 의사들의 미국 유학
III. 6·25전쟁 발발 이후 보건의학계의 변화
IV. 미국식 공중보건학 도입과 보건소의 확산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원(Lee, Dong-won). (2020).6·25전쟁과 한국 보건의학계 및 보건학의 형성. 동국사학, 69 , 339-374

MLA

이동원(Lee, Dong-won). "6·25전쟁과 한국 보건의학계 및 보건학의 형성." 동국사학, 69.(2020): 339-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