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교육과 간접전달

이용수 97

영문명
Teaching School Subjects and Indirect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김광민(Kwang-Min Kim)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193~21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키에르케고르는 주관적 지식의 전달에서 생기는 근본적 난점을 간접전달로 해결한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의 관심은 윤리·종교적 지식에 한정된 만큼, 간접전달을 교과교육 일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오우크쇼트의 전달이론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오우크쇼트의 전달이론에서 교사는 교육내용의 구현체로 등장하며, 결과적으로 오우크쇼트의 전달이론은 학생으로 하여금 교사를 배우게 함으로써 교과지식이 ‘간접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오우크쇼트를 참고할 때, 간접전달은 교사에 의해 드러나는 지식의 표면적, 또는 일상적 의미의 ‘부정’을 통해, 학생을 끝없는 지식 추구로 이끄는, ‘방법 아닌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간접전달이 심성함양을 위한 실천의 맥락에서 제기되고, 간접전달에서 강조하는 것이 끝없는 지식 탐구의 과정이라면, 지식 획득의 목적으로서의 심성은 간접전달이 구사되는 지식 탐구의 과정에서 정립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메타프락시스는 간접전달을 중요한 의미요소로 삼게 되며, 역으로 간접전달은 메타프락시스에서 그 의미가 보다 분명히 드러날 수 있다.

영문 초록

It is said that S. Kierkegaard solves the fundamental problems in communicating subjective knowledge by means of indirect communication. To generalize, however, indirect communication in the context of teaching school subjects, we should refer to M. Oakeshott s theory of communication. For Kierkegaard s concern in the indirect communication is limited to ethico-religious knowledge. In M. Oakeshott s theory of communication,teacher is showed up as the embodiment of school subjects, and as a result it can be interpreted as that teacher makes students learn teacher , when school subjects are transmitted to students indirectly . When we refer to M. Oakeshott s theory of communication, indirect communication can be understood as a special method which makes students learn teacher and leads students to investigate knowledge incessantly by negating the ordinary or fixed meaning of knowledge. If indirect communication appears in the context of cultivation of mind and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knowledge is emphasized in indirect communication, we can say that mind as a goal of cultivation could be established by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knowledge in which indirect communication is used. In this respect,indirect communication is a key component of metapraxis which explains cultivation of mind, and the meaning of indirect communication can be more obvious in metapraxis.

목차

Ⅰ. 서론
Ⅱ.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
Ⅲ. 오우크쇼트와 간접전달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민(Kwang-Min Kim). (2011).교과교육과 간접전달. 도덕교육연구, 22 (2), 193-215

MLA

김광민(Kwang-Min Kim). "교과교육과 간접전달." 도덕교육연구, 22.2(2011): 193-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