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

이용수 134

영문명
An Interpretation of Schiller 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as a Theory about Education of aesthetic Ma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김상섭(Sang-Sup Kim)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197~22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 즉 미적 경험을 통한 인간의 도덕화와는 구별되는 ‘미적 인간’의 교육이라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쉴러는 아름다움을 ‘현상으로 드러난 자유’라고 해석함으로써 미적 경험에 들어 있는 또 하나의 도덕화의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드러냈다고 평가받는다. 그러한 연장선에서 쉴러는 또한 미적 경험의 ‘총체성’에 주목함으로써, 미적 경험을 통한 인간의 도덕화와는 구별되는 미적 인간의 인간화라는 또 하나의 교육적 이상을 제안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바로 그러한 제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성적 존재 일반, 즉 도덕적 ‘존재’에 주목하는 칸트로부터 도덕적 ‘인간’으로 전환하는 쉴러 입장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밝히고, 쉴러의 ‘미적 경험’ 개념에서 미적 통합주의를 도출해내며, 그것이 다시금 미적 정초주의와 미적 완성주의로 해석될 때 초래되는 미적 교육의 형태와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적 경험은 인간의 도덕화를 위한 최적의 수단이라는 해석과는 구별되는 경험, 즉 총체적이고 조화로운 인간을 형성하는 교육적 경험이라는 또 하나의 해석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Schiller s treatise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s mostly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theory of moralization via aesthetic experiences. However it is also permitted or recommended, to interpret it as a text about the education of aesthetic man, because Schiller deals not only with ‘aesthetics in education’, but also with ‘education in aesthetics’. First of all, a new interpretation of Schiller’s text is here to begin with clarifying Schiller s noticeable transposition from Kant’s moral beings into moral man. Compared with the one, the other is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totality of sense and reason, which seems to be represented or vitalized in the aesthetic experience. Secondly, aesthetic experience is examined throughly because it plays a key role in Schiller’s text, in the sense, that it covers a wide range from aesthetic fundamentalism to aesthetic perfectionism. Thirdly, Schiller’s text is to interpret and to reconstruct as an attempt to theorize an education of aesthetic man. In this paper, Schiller is interpreted as an author who advocates aesthetic education of man, namely who speaks for an aesthetic humanizing in the sense of totalizing and perfecting of humanity. Such an aesthetic education can also reach its realm to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lationship and aesthetic state. That is only to hope, insofar as man forms himself as a total character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In that sense, education is fundamentally defined as an aesthetic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 aesthetic person is only to expect through an aesthet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섭(Sang-Sup Kim). (2016).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 도덕교육연구, 28 (3), 197-224

MLA

김상섭(Sang-Sup Kim).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 도덕교육연구, 28.3(2016): 197-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