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기술 향상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49

영문명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이초림(Lee, Chorim) 김갑숙(Kim, Gabsook)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25권 제2호, 259~28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 향상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지적장애 고등학생 10명(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이었다. 사회적 기술 향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7년 3월부터 5월까지 매주 2회 50분씩 총 14회기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사회적 기술척도와 학교생활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양적 분석은 Wilcoxen 부호순위 검증을 하였으며, 질적 분석은 초이론적 모델(Transtheoretical Model, TTM)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술 점수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질적 변화 과정에서도 후기단계로 갈수록 참여자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풍부하게 표현하며, 적절한 방법으로 친구와의 갈등에 타협하고, 서로 힘을 합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협동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생활적응 점수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질적 변화 과정에서도 후기단계로 갈수록 참여자들이 교사 및 친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수업시간에 주의를 기울여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고, 학교에서의 실내 생활 규칙을 준수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회적 기술 향상 집단미술치료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specific group art therapy on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to school setting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jects included 10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5 in an experimental group, 5 in a control group). The program included 50-minute sessions conducted two times per week for a total of 7 weeks; 14 sessions total.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SSRS)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ixed analysis method. Quantitative analysis was deriv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qualitative measurements were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SR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post-test to pre-test. Qualitative changes were progressive as well; in later stages,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ress thoughts and feelings using more diverse and rich methods, compromise with friends in appropriate ways, and problem solve collectively with their peers. Second, the post-test scores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pre-test. Qualitatively, in later stages, participants were able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by expressing positive thoughts and emotions towards their teachers and friends. In addition, problem solving, attention during class, and compliance with indoor rules/expectations improved throughout particip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kills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and adaptation to school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초림(Lee, Chorim),김갑숙(Kim, Gabsook). (2018).사회적 기술 향상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25 (2), 259-281

MLA

이초림(Lee, Chorim),김갑숙(Kim, Gabsook). "사회적 기술 향상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25.2(2018): 259-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