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 주도로 개발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
이용수 20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tus of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programs and early children teachers perceptions about applying the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강민지(Kang Min-ji) 김언경(Kim Eon-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2호, 185~2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현장에 제공된 정부 주도하에 개발된 유아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이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006년∼2016년에 발간된 정부 주도 유아교육 프로그램 36편과 유치원 현직 교사 253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으로 개발 주체가 교육부 에서 내용에 따라 관련 부서로 점점 바뀌는 추세로 나타났다. 유아교육 프로그램은 주제 면에서 신체운동건강 영역과 자연탐구 영역의 내용이 가장 많이 개발되었다. 보급 현황 면에서는 대부분 교육부가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보급, 활용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로, 유아교육 프로그램은 교육과정을 지원해 주지만 없어도 교사의 활동 계획 및 실행에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알게 된 경로는 배송된 책자나 교사연수, 공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실제 활용할 경우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내용의 일부를 참고로 활동을 새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부 주도 유아교육 프로그램들의 개발 및 운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children developed by the government and early children teachers recognition on applying those programs to field last for 10 yea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nd 253 kindergarten teachers who applied those programs in their classrooms and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respons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rogram contents, the responsible agency has been transferring mainly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a relevant department. The most develope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related to the Physical Exercise Health area and a Natural Inquiry area among the areas of Nuri curriculum. Programs developed only by Ministry of Education tend to be distributed and utilized in the field among other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government provided-programs are helpful in managing curriculum, believing that it has no major impact on their practice. They responded that they learned the programs by official booklets and letters and by participat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teachers used the programs as they are or by revising for their own purpose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furthe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government-develop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의 부모역할지능과 훈육방식 간의 관계
-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유형 분석
- 국내 온라인 서점과 그림책 전문 웹 사이트에서 추천하는 영아 그림책의 목록과 특징
- 대학원 ‘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과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생활 속 과학 문제 해결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이 수학개념 형성과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의 맥락 : 조작놀이영역을 중심으로
- 정부 주도로 개발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
- Rudolf Steiner 및 발도르프 교육의 유아 예술 교육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