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이 수학개념 형성과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7
- 영문명
- The effects of integrated mathematics and english activities on mathematical concept formation and english achievement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경혜(Lee Kyoung-hy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2호, 131~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수학적 인지 학문적 성숙과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구성한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형성과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3세 유아 5명, 5세 유아 5명으로 각각 구성된 소집단의 유아 10명 이었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본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수학개념 및 영어성취도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처치는 각 집단별로 총 18회의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을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있어서의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은 유아의 수학개념형성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영어성취도, 영어듣기, 영어말하기 영역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은 유아의 영어성취도, 영어 듣기 및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연구의 의의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수학과 영어통합 활동안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것과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수학적 인지 학문적 성숙과 영어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grated mathematics and English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 formation and their English achievement. The activities were designed to improve young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in mathematics and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10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small groups of 5 three year old- and 5 five year old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a preliminary study and had a pretest-posttest design to measure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and English achievement. A total of 18 math and English activities were appli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grated mathematics and English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mathematical concept formation,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ir English achievement, English listening, and English spea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model of integrated program of subject areas for young children,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ir improvement of English achiev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의 부모역할지능과 훈육방식 간의 관계
-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유형 분석
- 국내 온라인 서점과 그림책 전문 웹 사이트에서 추천하는 영아 그림책의 목록과 특징
- 대학원 ‘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과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생활 속 과학 문제 해결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이 수학개념 형성과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의 맥락 : 조작놀이영역을 중심으로
- 정부 주도로 개발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
- Rudolf Steiner 및 발도르프 교육의 유아 예술 교육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