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유형 분석
이용수 350
- 영문명
-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questioning and response types in scienc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경민(Lee Kyung-mi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2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과학활동에 나타난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유형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유형의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30명의 과학 활동 수업을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발문유형에서 유치원 교사들은 인지․기억적 발문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평가적 사고 발문을 가장 적게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폐쇄적 발문유형이 개방적 발문유형보다 훨씬 많이 사용되었으며 유아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유아의 반응은 단답형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유아의 반응에 대한 피드백유형은 ‘수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다른 유아에게 발문’, ‘증거요구’, ‘거부’ 순이었다. ‘명료화 요구’ 가 가장 적게 나타났고 유아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유아의 과학적 사고력 증진을 위해서는 과학활동 시 개방적 발문유형과 ‘명료화 요구’, ‘증거요구’, ‘다른 유아에게 발문’ 피드백유형이 더 필요하다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kindergarten teachers’ questioning and response types in science activities. 30 kindergarten teache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ir teaching behaviors including asking questions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during the science class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cognitive-memory questions were mostly used by kindergarten teachers whereas evaluative thinking questions were hardly used. Overall the rate of the closed type of ques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pen type with no difference in the age of the young children. Second, most of young children s responses were the short-answer type in cognitive-memory questioning. The most common types of teacher’s feedbacks on young children’s responses were acceptance , followed by asking an other child , requesting evidence and denial . The clarification requirement was the leas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young children 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open type of questions, clarification requirement , evidence demand , and feedback to other children feedback type in science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버지의 부모역할지능과 훈육방식 간의 관계
-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유형 분석
- 국내 온라인 서점과 그림책 전문 웹 사이트에서 추천하는 영아 그림책의 목록과 특징
- 대학원 ‘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과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생활 속 과학 문제 해결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를 위한 수학과 영어통합활동이 수학개념 형성과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의 맥락 : 조작놀이영역을 중심으로
- 정부 주도로 개발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
- Rudolf Steiner 및 발도르프 교육의 유아 예술 교육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