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계는 ‘이도(理到)’를 어떻게 읽었는가 - ‘이도’ 독법(讀法)을 통해 본 ‘활물(活物)로서의 리(理)’ -

이용수 161

영문명
How Did Toegye Interpretate Lidao理到 - Understanding Toegye`s view of the Activity of Li理 through His interpretation of Lidao -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이원준(Lee Won-Jun)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3권, 251~27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1501~1570)의 ‘이도(理到)’ 및 관련 문구의 독법(讀法)을 통해 그의 인식론인 이도설(理到說)의 사상사적 의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도(理到)’는 흔히 ‘(사물의) 理가 스스로 이르다’라고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법을 형이하 영역에서 전개되는 물리적 내도(來到)로 파악한다면 무위의 원칙인 리에 활동성을 부여하였다는 혐의를 받게 된다. 이 때문에 당초 퇴계는 ‘사물의 리가 내 마음으로 내도한다’로 해석되는 ‘이도’를 부정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 1527~ 1572)으로부터 ‘이도’가 틀린 문법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는 예문을 접한 후 변화하였다. 고봉의 견해에 따른다면 ‘이도’라는 어휘는 ‘물리가 마음에 이른다’가 아니라 ‘이치가 지극해진다’로 해석된다. 형이하의 측면에서 ‘이도’를 이해할 경우 ‘도(到)’를 ‘내도’로 읽힐 혐의가 있는 ‘이르다’가 아니라 ‘지극하다’ 혹은 ‘다하다’의 의미로 읽는 것이 합당하다. 고봉에게서 ‘이도’와 관련된 제 문장을 접한 퇴계는 기존 견해를 고쳐 ‘사물의 이치가 마음에 이른다[物理到心]’로 읽혀질 수 있는 ‘이도’를 인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퇴계는 󰡔대학혹문󰡕의 내용을 참고하여 ‘이도’를 풀이하였고, 결과적으로 ‘리’의 체(體)와 용(用)을 구분함으로써 ‘용’의 측면에서 ‘리’가 ‘스스로 이르다[自到]’라고 읽어도 틀리지 않다고 보았다. 고봉은 어디까지나 사실에 대한 진술로서 ‘이도’를 이해하고서 해당 어휘의 문법적·논리적 정합성을 고려하여 ‘도’자를 읽었다. 반면, 퇴계는 ‘물리’와 ‘심’의 관계를 형이상의 차원에서 고찰한 결과 ‘物理到心’으로 읽히더라도 ‘이도’ 자체는 틀린 표현이 아니라고 보았다. 퇴계는 ‘용’을 ‘드러냄[發見]’으로 정의함으로써 물격의 공효를 현실에서는 분리되어 있는 사물의 ‘리’가 ‘심’ 속에서 하나의 ‘리’로 관통되는 것을 물리의 입장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인식하였고, 이러한 ‘리’는 결코 ‘죽은 것(死物)’이 아니라고 보았다. ‘리’의 ‘체용’ 구조는 ‘이도’ 독법에서 발생한 형이하의 방소에 대한 논란을 제거함으로써 ‘물리가 마음에 이른다’라는 독법에 타당성을 제공해 주지만, 퇴계의 ‘이도’ 독법은 단순히 문법적 정합성을 고찰하는 문제를 넘어서는 지점에 있다. ‘리’의 작용(혹은 발현)을 통한 ‘이도’의 승인은 그의 ‘리’에 대한 관념이 이제껏 형이하의 사실적 측면에서만 이해되던 격물·물격에서도 논증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mis at grasping Toegye Yi Hwang(1501~1570)`s concept of li理 through his analysis of the Chinese character lidao理到. Zhu Xi(1130~1200) annotated The Great Learning大學`s concept Wuge物格, the result of Gewu格物(Investigation of things), as “物理之極處, 無不到也”. The expression lidao理到 is the abbreviation of Zhu Xi`s annotation of Wuge. The academia in the sixteenth century Korea, there was a problem about how to insert a suitable gugyeol口訣(Korean postposition) between “物理之極處” and “無不到也”. Some thinks that it is correct to insert subjective gugyeol ‘이/가’. Following this view, lidao can be resolved into subject li理 and predicate dao到. The other perspective is that locative case gugyeol ‘에’ is suitable. Following this view, lidao can be resolved into adverb li and predicate dao, and translated as “I arrived at li”. At the first time, Toegye understood lidao as “the unmovable metaphysical principle personally arrived to mind”, and took a negative stand on this view. Subsequently, Gobong Ki Daeseung(1527~1572) provided several interpretations for Toegye. Using such examples, Gobong argued the word lidao can be translated as the structure of subject-predicates, and Togye finally accepted Gobong`s point. The basic definition of Chinese character dao到 is laidao來到 , which is mainly interpreted as to arrive . In the context, however, dao is also understood as zhoudao周到 or daojin到盡 , mainly interpreted as to understand thoroughly . Gobong`s examples illustrate a different usage of dao. In this view,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lidao is “Li was completely understood.” The scholars of Toegye School in seventeenth century also interpreted Toegye`s changed view of lidao as “Li was ultimately understood.” Translating lidao, Gobong and Toegye School`s scholars just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However, Toegye applied the tiyong體用(substance and function) structure of li理. He understood that the yong用 of wu物(the thing)`s li, the operation of li, can accord with mind after investigation of thing`s li, and these condition can be called as “The wu`s li personally arrived to mind.” Ti體 of wu`s li, the unmovable metaphysical substance itself, however, actually dose not escape from things. Toegye`s agreement of lidao means that he agreed with a kind of activity of li in aspect of li`s yong through interpretation of wuge. Moreover, his interpretation of lidao is applied metaphysical way to understanding Confucian epistemological concept gewu格物 which was mainly understood as epistemology in physical side.

목차

1. 서론
2. 퇴계의초기 독법과 ‘물리도심’ 비판
3. 고봉이제시한 ‘이도’ 독법의정합성
4. 퇴계의독법 변화와 고봉 독법 사이의간극
5. 퇴계의최종 ‘이도’ 독법과 ‘활물로서의 리’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준(Lee Won-Jun). (2018).퇴계는 ‘이도(理到)’를 어떻게 읽었는가 - ‘이도’ 독법(讀法)을 통해 본 ‘활물(活物)로서의 리(理)’ -. 퇴계학논집, 23 , 251-277

MLA

이원준(Lee Won-Jun). "퇴계는 ‘이도(理到)’를 어떻게 읽었는가 - ‘이도’ 독법(讀法)을 통해 본 ‘활물(活物)로서의 리(理)’ -." 퇴계학논집, 23.(2018): 251-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