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호텍스트성에 기초한 미술 비평교육에 관한 연구 I
이용수 154
- 영문명
- A Study on Art Criticism Education Based on Intertextuality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변경수,김선아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6호, 179~2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비평의 특징은 무엇이며 미술교육과의 연계성은 무엇
인지 또한 미술비평 활동에 있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전통적인 비평교육의 개념이 가지는 한계점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
호텍스트성의 미술 교육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은 복합적이고 다면적
인 비평을 촉진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적 개념으로서, 이를 통해 단일 대상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상호 관계된 여러 대상 혹은 관련이 없어 보이는 방대한 외적 요소들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보편성과 객관성에 기초한 고정된 관점에서의 비평이 아닌 관계적인
시각에서 의미를 해체, 조합, 재구성하는 가운데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대상을 해석하고 비평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유용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대 비평론의 맥락 안에서
상호텍스트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상호텍스트성의 특성을 반영한 비평 수업의 방향과 의의를
명료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의 적극적 활용은 미술비평 방법의 확장이라는 측
면에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of art criticism
based on this critical mind and simultaneously to seek significant applicability of
intertextuality in art criticism. Accordingly,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devised that leads the criticism to being able to be significant experience in own
life through expanding diverse elements and texts, to which the text dubbed
animation is related, into a sense of the broader scope.
As for a specific method of criticism for this, the attention was paid to
intertextuality. This method, which forms a meaning through correlation with
diversely external texts including a user with paying attention to many objects
relevant to criticizing one object, can be considered to have reflected a
characteristic of language that is addressed importantly in criticism today. In other
words, the criticism with the application of intertextuality has a significance as a
method that will supplement a formal and direct method, which had literally
analyzed and accepted the object, and that will design a cyclic criticism class to
which is added a correlation with diverse elements. Accordingly, the guidance
plan, which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possibly utilized as a
specific method for a criticism class centering on learner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호텍스트성에 기초한 미술 비평교육에 관한 연구 I
- 공간인식 교육프로그램 운영체계
- 점토활동이 제공하는 촉각 감각의 교육적 가치
- 온라인 박물관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수업사례 : 맥락적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중심으로
- 지적장애인의 사회성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협동미술 프로그램 연구 - LT(Learning Together) 협동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
- 융합교육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한 핵심성과 융통성의 원리 탐색
- 미술관 이미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내러티브 유형 연구
- 미술과 중심 융합교육의 수업목표 개발과 적용 : 초등 예술캠프를 위한 미술과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디자인 연구
- 대학미술교육의 수묵화 기초능력배양에 관한 연구
- 남홍의 종합 예술에 나타난 치유의 미학
- 미술교육에서 상상력의 기능에 대한 연구
- 대학 구조조정 시대의 디자인학과의 융합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 고검부의 예술사상과 미술 교육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CIE L*a*b* 시스템을 이용한 패키지디자인 색상 요소에 관한 연구
- NFT 마켓플레이스 플랫폼 사용성 향상을 위한 UX 사용성 연구
- A Study on User-Centered Brand Design from the context of Experience Design: Focused on Pet Supplies Industry in Chin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