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판적 교육학에 근거한 비판적 시각 문해교육

이용수 189

영문명
Literacy Education for Critical Perspectives Based on Critical Pedagogy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이화식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48호, 407~43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1.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 미술교육의 최대의 화두는 시각문화 미술교육1)이라고 해도 과언을 아닐 것이다. 이러한 미술교육 사조가 유행하는 것은 현재 우리사회의 문화적 특징인 포스 트모더니즘과 비판주의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양한 주장 과 주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일반적으로 다양성과 소담론, 반권 위 등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비판주의는 비판적 사고를 중심 주제로 다루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나 미술교육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비 판주의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특히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현재 우리 교육에서 화두로 대두된 것이다. 하지만 현 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비판주의보다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아 문화의 다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인상이 있고, 비판주의 영 향을 받았지만 잘못된 비판주의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듯하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 이 포스트모더니즘 시각이 반영된 ‘시각문화 미술교육’과 잘못된 비판주의 시각이 반 영된 ‘비판적 시각문화 교육’에서 벗어나 본래의 비판주의 시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tends to develop critical pedagogy by applying the objectives of the pedagogy, “the growth of critical thinking and autonomous thinking skills” to the visual arts. To that end, the study delved into the concept, development process and education for criticism in a theoretical term to better understand the literacy education for critical perspectives. It also suggested the directions of the literacy education for critical perspectives afte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ritical literacy and media educations which are relevant to the literacy education for critical perspectives. The proposed directions of the literacy education for critical perspective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i)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the literacy education for critical perspectives; ii) the curriculum of the literary education for critical perspectives; and iii)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ng the literary education for critical perspectives. The study suggested taking advantage of the visual arts to develop skills for critical think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nd to cultivate critical and autonomous thinking through the literacy education for the objectives. The curriculum needs to be composed of critical humanities. The study also proposed to proceed with classes through communications and praxis to construct knowledge of children in teaching and learning. As we are living in an age of so-called visual culture, the literacy education for perspectives is a pressing and important issue. If the visual culture is considered to be a medium to expres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personal desires of modern people, then the literary education for perspectives find, analyze and interpret the ideology from the visual culture. The ability to express such ideology is essential to the people in this age. This is also regarded as an ability to critically communicate with individuals and the society. In addition, the capability of critical litera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식. (2013).비판적 교육학에 근거한 비판적 시각 문해교육. 조형교육, (48), 407-430

MLA

이화식. "비판적 교육학에 근거한 비판적 시각 문해교육." 조형교육, .48(2013): 407-4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