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차원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강박증의 뇌형태학적 연구

이용수 37

영문명
3-D Morphometric Study of Brain MRI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공석원 송인창 한문희 장기현 류인균 권준수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9권 제6호, 1177~118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1.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강박증의 생물학적 원인으로 전두엽-선조체 회로의 이상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형태학적 뇌영상을 이 용한 기존의 연구는 전두엽과 미상핵의 용적 변화에 대한 일관된 결과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형변환을 통한 반자동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뇌의 각부위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를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DSM-IV의 기준에 의해 진단한 13명의 강박증 환자와 9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뇌자 기공명영상을 Spoiled gradient-recalled(SPGR)법으로 얻었다. 3차원으로 재구성된 뇌자기공명영상을 Talairach와 Tournoux의 표준화 좌표에 공간적 정위시킨 후 회질과 백질을 반자동화된 방법으로 분리하였 다. 죄표에 의거한 뇌엽의 각 부위에 대한 용적 측정을 하고, 미상핵은 수기로 구획한 후 용적측정을 하였다. 전두엽은 Broadman의 영역에 의거하여 좌표계에 따른 분할을 하여 배외측전두엽, 안와전두엽, 내측전두엽 으로 분할 구획하여 용적을 측정하였다. 결 과: 강박증군에서 전두엽 회질의 용적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른 부위의 회질과 백질 그리고 미상핵 의 용적은 차이가 없었다. 편측성에 의한 차이도 없었으며, 임상적 심각도와의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강박증군에서 전두엽의 용적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기존 연구 중 일부에서 전 두엽과 미상핵의 용적 감소를 보고했던 것과 차이가 있다. 강박증이 만성화되고 일정기간 이상이 지나 구조 적 변화가 오기 전까지는 오히려 대사와 혈류 증가에 따른 회질 용적 증가가 관찰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Neurobiological models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have consistently implicated prefrontal-striatal circuits in the pathophysiology of this disorder. But, prior studies have inconsistently found alteration in caudate and frontal lobe volumes in patients with OCD.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the hope that semi-automated linear transformation methods would elucidate the morphometric differences of various parts of brain between OCD and normal control group. Methods:Thirteen patients meeting the DSM-IV criteria for OCD, and 9 psychiatrically normal comparison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3-D brain MRIs using Spoiled gradient-recalled(SPGR) sequence were acquired for each subjects. After spatially normalized according to Talairach and Tournoux’s coordinates, the gray and white matters were segmented by semiautomated methods using fuzzy algorithm. Each lobal volumes was measured according to Talairach and Tournoux’s coordinates, and the region of interests of caudate nuclei was manually traced. The frontal lobe was divided into 3 subregions;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orbital frontal cortex, mesial frontal cortex accoring to the coordinates and Broadman’s cytoarchitectonics. Results:Only the volume of left and right frontal gray matt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CD and normal subjects. In OCD, the frontal gray matter volume was increased in tendency. There’s no difference in laterality and no coorelation with clinical severities. Conclusion:Findings of increased frontal gray matter volumes in patients implicate a structural abnormality of these brain regions in the pathophysiology of OCD. The increased frontal gray matter volumes reflect a epiphenomena due to increased cerebral blood flows and metabolic rates before the structural changes may occur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석원,송인창,한문희,장기현,류인균,권준수. (2000).차원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강박증의 뇌형태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9 (6), 1177-1187

MLA

공석원,송인창,한문희,장기현,류인균,권준수. "차원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강박증의 뇌형태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9.6(2000): 1177-1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