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월경 전기 변화 여성에서 월경 전기 증상의 양상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

이용수 43

영문명
Premenstrual Symptom Patterns and Coping Style in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류영민 조숙행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9권 제6호, 1061~107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1.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배경: 월경 전기 변화의 원인으로써 많은 가설들이 제시되어 왔는데, 이중에 환경적인 스트레스와 월경 전기 변 화의 관련성에 관한 보고가 있다. 즉, 월경 전기 변화를 보이는 여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그것을 평가하고 대처하는 양식이 월경 전기 변화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 여성에서 월경 전기 변화군을 선별하여, 월경 전기 변화의 증상 양상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방 법: 고려대학교 부속 의료원과 부산 동인 병원의 간호사 및 직원과 그 가족 중의 2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여성 51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처 방식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1회의 월경 주기 동안 전향적으로 DSM- Ⅳ 월경전 불쾌 기분 장애의 진단 기준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와 매일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작성 하도록 하였다. 결 과: 50% 변화 기준으로 월경 전기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월경 전기 변화가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 인구 통계 학적인 요인과 위험 인자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월경 전기 변화로 확인된 군은 확인되지 않은 군에 비해서 월경 전기에 스트레스의 지각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 식의 4가지 요인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월경 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월경 전 기 증상과 정서 중심 대처와 소극적 대처가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던 반면에 월경 전기 변화가 없는 군 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월경 전기 변화군은 월경 전기 변화가 없는 군에 비해 월경 전기에 스트 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며 소극적 대처방식과 월경 전기 증상이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결 론: 월경 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은 월경 전기에 스트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며, 월경 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과 확인되지 않은 군 사이에 대처 방식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고 있지만 월경 전기 변화군에서 월경 전기 증상들이 정서 중심 대처 및 소극적 대처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월경 전기 변화에 대 한 치료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에의 접근과 이완 요법이나 인지-행동 치료 등과 같은 스트레스 관리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relationships of premenstrual symptom patterns,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tyle between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 and women without premenstrual change, using prospective methods. Fifty one women older than 20 years and in healthy state were asked to complete the Daily Rating Form and Daily Stress Scale(6-point Likert scale) during one menstrual cycle. They were also instructed to respond to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Fiftypercent- change method was used to identify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 and methods of chisquare, t-test, paired t-test, and correlat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ir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 1) 47.1%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premenstrual change group. 2)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men with premenstural change and women without premenstrual change was foun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e.g., age, education, job, marriage) and menstrual characteristics(e.g., ages of menarche, regularity of menstruation, interval and duration of menstruation, amount of menstruation, dysmenorrhea).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ping style between women with premenstural change and women without premenstrual change. However, we observed relationships between some of premenstrual symptoms(i.e., depressed mood, lability, difficulty in concentrating, changes in appetite, being overwhelmed) and coping style, among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 during premenstrual phase. No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premenstrual symptoms and coping style among women without premenstrual change. 4)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 reported more stressfulness premenstrually than post-menstrually( t=5.09, df=22, p=.000) as compared to women without premenstrual change(t=0.59 df=26, p=.56). Our findings suggest that, among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 there exist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mptom patterns and coping style. Also, the ways stressors are perceived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menstrual cycle phase, only among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state-dependent model of premenstrual syndrome.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stress management as an important therapeutic strategy for those with premenstrual change, because of their high vulnerability to stressors.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영민,조숙행. (2000).월경 전기 변화 여성에서 월경 전기 증상의 양상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 신경정신의학, 39 (6), 1061-1071

MLA

류영민,조숙행. "월경 전기 변화 여성에서 월경 전기 증상의 양상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 신경정신의학, 39.6(2000): 1061-10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