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자원과 정신건강 - 종합병원 일반사무직을 대상으로 -

이용수 182

영문명
Women’s Job Stress, Coping Resources and Mental Health - In the Sample of Female Office Workers in a General Hospital -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임승락 김지혜 이동수 김이영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9권 제6호, 999~100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1.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대처 모형(job stress-coping model)에 기초하여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자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 법: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일반사무직 여성 4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검사와 다면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 다.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처자 원의 완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심인성 신체증상 호소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대처자원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들 중에서는 특히 직무역할이 자신의 능력이나 경험에 비해서 불충분하고, 모호하다고 지각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장여성들의 우울, 불안증상과 같은 정서적 고통의 호소는 직무 자체의 특성보다 는 주변사람들의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한편, 동일한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해도, 그 개인이 적절하게 대처하면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감소되었다. 결 론: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는 직장여성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특히 심인성 신체증상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러한 영향은 개인의 적절한 대처행동으로 인해 완충될 수 있다. 여성 이 직무 중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될 때, 이를 회피하기보다는 능동적, 합리적으로 대처하고, 주변의 적절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면 보다 만족스럽고 건강한 생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women’s job stress, coping resources, and mental health based on stress-coping model. Methods:Forty-three female clerk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filled out the Korean version of job stress inventory(K-OSI) an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a series of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lso, ANOVAs were conducted to identify buffering effects of coping resources in job stress experience. Results:The perceived job stress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somatic complaints. In addition, the psychosomatic complaints of the wome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own coping resources. Among the various stress factors of the job life, specifically role insufficiency and role ambiguity has the negative effects on women’s metal health. However working women s experience of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job stress but to the socialsupports. Also, stress-coping model and buffering effects of coping resourc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Conclusions:Despite the job stress of women has negative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these effects could be buffered by appropriate coping resources such as social support and self-care. In severe job stress situations, it would be better to cope with difficulties reasonably than to avoid them passively.

목차

서 론
연 구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락,김지혜,이동수,김이영. (2000).여성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자원과 정신건강 - 종합병원 일반사무직을 대상으로 -. 신경정신의학, 39 (6), 999-1009

MLA

임승락,김지혜,이동수,김이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자원과 정신건강 - 종합병원 일반사무직을 대상으로 -." 신경정신의학, 39.6(2000): 999-10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