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항정신병 약물치료하에서 주관적 안녕감을 평가하는 한국형 척도의 개발

이용수 96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a Korean Modification of the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l- 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KmSWN)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윤진상 국승희 이형영 이철 백인호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9권 제6호, 987~99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1.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994년 Naber등이 개발한 38문항의‘항정신병 약물치료하에서 주관적 안녕감을 평가 하는 자가평정척도(a self-rating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 SWN)’를 문항수를 줄이고 문항내용을 수정하여 한국형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4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 22문항의 KmSWN과 General Health Questionnaire/Quality of Life- 12(GHQ/QL-12)를 실시하였고,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에는 척도에 대한 반 응과 정보가 신뢰로운 176명의 자료를 포함시켰다. 첫째, KmSWN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둘째, KmSWN총점과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징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끝으로 Km SWN의 총점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KmSWN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KmSWN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22문항의 KmSWN중 세문항은 내적 일치도가 낮아서 추후분석에서 제외되었다. 19문항의 Km SWN (KmSWN-19)은 반분신뢰도(.91), 문항간 상관의 평균(.38), 내적 일치도(Cronbach alpha .92)가 높았다. 요인분석에서는‘불만족’,‘신체 및 정신기능’,‘정서조절 및 자기통제’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KmSWN- 19 총점과 GHQ/QL-12 총점간의 상관은 -.83으로 공존타당도가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징중 연령, 용돈, 사회경제적 수준, 과거 입원횟수, 투약에 대한 순응 및 투약에 대한 만족도는 KmSWN-19 총 점과 정적 상관이 있었던 반면, 질병의 심도, 파킨슨 증상의 심도, 지연성 운동장애의 심도, 투약횟수 및 투 약을 빠뜨린 횟수는 KmSWN-19 총점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결과, KmSWN-19 총 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투약의 만족도, 투약을 빠뜨린 횟수 및 용돈이었으며, 변량의 24%를 설명하 였다. 결 론: KmSWN-19는 정신분열병 외래환자의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자기평정척도로서 신뢰롭고, 타당하며 실용적임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KmSWN-19는 항정신병 약물과 관련한 주관적 안녕감에만 특이한 척도가 아니라, 척도에 응답할 수 있는 모든 정신분열병 환자나 기타 정신증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척 도임이 시사되었다. 한편, KmSWN-19 총점에 대해 독립변인들의 설명변량이 크지 않은 점은 주관적 안녕 감 혹은 삶의 질의 평가에서 개인의 가치나 신념, 성격특성 같은 개인내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 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modification of SWN(KmSWN), based on the original 38-item SWN(a self-rating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 by Naber et. al. in 1994, but containing the reduced number of items and the modified content Methods:The KmSWN with 22 items and General Health Questionnaire/Quality of Life- 12(GHQ /QL-12) were administered to 204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Also, their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176 patients whose responses to the scale, as well as whose related informations, were reliable. Fir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mSWN were assessed comprehensively.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otal score of KmSWN and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in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predictable variables on the total score of KmSW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h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lready shown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total score of KmSWN. Results:Three of 22 items of KmSWN were excluded from the following analysis due to their poor internal consistency. KmSWN comprised with 19 items(KmSWN-19) showed high levels of spilthalf reliability(.91), mean of interitem correlations(.38) and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lpha .92). Factor analysis of the KmSWN-19 revealed that a three-factor solution accounted for 100% of total explained variance. The three factors were interpreted as ‘dissatisfacti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ntrol’. The concurrent validity of KmSWN-19 with GHQ/ QL-12 was very high(-.83). Of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ge, disposable money, socioeconomic level, number of previous hospitalizations, compliance with medication and satisfaction with med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score of KmSWN-19, while severity of illness, severity of parkinsonism, severity of dyskinesia, administration frequency of medication and omission number of medic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However, the total score of KmSWN-19 was not correlated with the class and the dose of neuroleptics.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atisfaction with medication, the omission number of medication and the disposable money wer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total score of KmSWN-19, and they explained 24% of the variance. Conclusions:The above findings indicated that KmSWN-19 was a reliable, valid and practical self-rating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in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Moreover, KmSWN-19 seemed to be a general scale applicable to all the schizophrenic or other psychotic patients if they were able to complete it, rather than a specific scale only for the patients undergoing the neuroleptic trea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dictable variables on the total score of KmSWN-19, one may argue that intra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value, belief and personality traits, although they were not evaluat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or the quality of life.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진상,국승희,이형영,이철,백인호. (2000).항정신병 약물치료하에서 주관적 안녕감을 평가하는 한국형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 (6), 987-998

MLA

윤진상,국승희,이형영,이철,백인호. "항정신병 약물치료하에서 주관적 안녕감을 평가하는 한국형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6(2000): 987-9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