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분열병 환자의 낙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이용수 107

영문명
Factors Affecting Stigma of Schizophrenic Patient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한경례 김성완 이무석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41권 제6호, 1185~119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1.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의 낙인은 적절한 치료를 받아 회복된 후 사회에 복귀하려는 환자의 사회적응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낙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 적인 낙인 극복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신분열병으로 치료 중인 국립나주병원 환자 278명, 그리고 전남대학교병원 환자 40명 등 총 318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낙인에 대한 평가도구는 Bruce Link가 개발한‘Wording of Items in the Stigma Scale’을 참고하여 예비조사를 한 후 20문항으로 수정 보완하였는데 비밀 척도, 편견 척도, 평가절하 척도의 세 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었다. 피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변인 그리고 BDI를 통 해 평가한 우울 정도를 조사하여 낙인정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낙인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결 과: 직업, 환자가 느끼는 가족의 지지 정도, 가족의 면회 횟수 그리고 우울 수준에 따른 낙인의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업에 따른 낙인의 정도는 전문기술직에 비해 학생, 농업생산직, 무직 등의 낙 인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특히 평가절하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가 느끼는 가족의 지지 정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면회 횟수가 적을수록 낙인의 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우울 수준이 높을 수록 낙인의 정도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적인 낙인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병 에 대한 교육 참가 경험과 치료중인 병원에 따라 하위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분열병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환자들이 비밀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국립나주병원 환자가 전 남대학교병원 환자보다 편견 척도가 높았다. 성별, 나이, 학력, 결혼상태, 종교, 거주지, 가족의 경제적 상태, 입원 횟수, 개방병동 경험, 최근의 정기적인 외래 치료 기간, 질병의 이환 기간 등은 낙인 정도 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잦은 면회를 포함한 가족의 지지와 일정한 직업을 갖는 것이 낙인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질병 에 대한 교육은 정신분열병을 수치스럽게 여겨 비밀로 하려는 경향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울 수준과 낙인 정도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임을 통해 낙인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우울과 사회 적응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Stigma of schizophrenic patien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adaptation of patients to return to society after proper treatment. This study show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tigma recognized by schizophrenic patient and utilized them as the basic materials to overcome such stigma effectively. Subjects and Method: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318, including 278 patients who receive treatment of schizophrenia in NaJu National Hospital and 40 patients of Chonam University Hospital. The evaluation instrument of the stigma refers to ‘Wording of Items in the Stigma Scale’ developed by Bruce Link,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vised into 20 items after getting through preliminary study. It was consisted of three subscales including secret, prejudice and devaluation. Authors examined the subject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clinical variables and degree of depression through Beck Depression Inventory. Observed we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degree of stigma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stigma. Results: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tigma according to occupation, degree of family support felt by patients, frequency of family visits and level of depression. In the degree of stigma according to occupation, students, farmers and the unemployee showed relatively higher stigma than professional technicians, especially in devaluation scale.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felt by patients and frequency of family visits were revers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stigma. The level of depression was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stigm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whole stigma,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scal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disease education and treatment in hospitals. Patients who received no psychoeducation showed high scores in secret scale and patients of NaJu National Hospital had higher prejudice than patients of Chonam University Hospital. Such factors as sex,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religion, residence, family economic status,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experience of open ward, recent regular treatment and duration of ill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degree of stigma. Conclusions:It is found that family support, regular occupation and frequent patient visits can be factors decreasing the stigma. Psychoeducation about mental illness is related to the reducing the tendency to hide the disease. In addition, coping with derpession can be helpful to reduce the stigma of patients and effective social adaptation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경례,김성완,이무석. (2002).정신분열병 환자의 낙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 신경정신의학, 41 (6), 1185-1196

MLA

한경례,김성완,이무석. "정신분열병 환자의 낙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 신경정신의학, 41.6(2002): 1185-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