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아정신과 환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지지체계

이용수 52

영문명
Parenting Stress and Support System in Parents of Child Neuropsychiatric Outpatients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김자윤 안동현 고복자 이영교 이효경 황혜순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41권 제6호, 1130~1141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1.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소아정신과 외래치료중인 환아의 부모들은 아동의 질병으로 인해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 로 나타난다. 질병의 성향과 심각도에 따라 부모가 느끼는 스트레스에 차이가 클 것으로 생각되며, 이 런 스트레스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부모의 사회적 지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 법: 외래치료중인 유치원 및 초등학교 재학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 및 부모 면담으로 시행하고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척도(Parenting Stress Index), Medical Outcomes Study(MOS)의 사회적 지지척도, 양육지지척도를 통해 아동의 문제행동과 부모 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에 관련된 지지정도를 측정했다. 결 과: CBCL이나 사회적 지지척도, 양육 스트레스척도 등 각 척도의 총점수 만으로는 진단군 사이의 유의 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동일 진단군내에서 지지체계의 차이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 증상의 정도를 CBCL로 비교하였을 때 양육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증상 정도가 유사한 집단 내에서는 내재화문제가 심한 아동에서 사회적 지지체계가 좋으면 부모가 받는 스 트레스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외현화문제나 총문제행동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양육지지 정도에 따라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 론: 환아의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가 인지하는 환아의 증상정도와 가장 높은 연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아동의 양육에 관련된 지원체계가 부족할수록 양육 스트레스는 높아졌으나 부모의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체계는 별 도움을 주고 있지 못했다. 무엇보다 아동의 문제행동을 줄여주는 것이 부모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Parents of child neuropsychiatic patients may have many stresses due to their children’s illness.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diseases will influence to the stresses of parents. The authors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and parents’ social support having an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Methods:Children and parents in outpatients interviewed and completed measures assess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parenting stress, general social support, and support related to parenting by Child Behavior Checklist, Parenting Stress Index, Medical Outcomes Study’s Social Support Scale, and Parenting Support Scale. Results:We could not find the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s of CBCL, Social Support Scale, and Parenting Stress Index among major diagnostic groups. In the same diagnosis, no difference of parenting stress was found according to general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highly correlated with severity of problem behaviors measured by CBCL. Conclusion:Severity of problem behaviors perceived by parents most predicted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ress correlated with support to parenting, but not with general social support. Managing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s the most immediate and effective method to diminish the parental stress of child neuropsychiatric patient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자윤,안동현,고복자,이영교,이효경,황혜순. (2002).소아정신과 환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지지체계. 신경정신의학, 41 (6), 1130-1141

MLA

김자윤,안동현,고복자,이영교,이효경,황혜순. "소아정신과 환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지지체계." 신경정신의학, 41.6(2002): 1130-1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