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월경전기증후군을 보이는 젊은 여성에서의 Minor Stress에 대한 취약성

이용수 67

영문명
Vulnerability to Minor Stressful Events in Young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소기윤 조숙행 김정웅 이현수 고승덕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41권 제6호, 1109~111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1.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월경전기증후군의 원인은 생화학적 또는 내분비학적 모델 및 심리사회적 모델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도 일치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중 심리 사회적 요소의 하나인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젊은 여성에서 월경주기와 일상생활 스트레스(minor stressor)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월경전기증후군에서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여대생 46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대한 DSM-Ⅳ진단기준을 근거로 하여 15개의 문 항으로 구성된 수정매일평가서(modified Daily Rating Form:DRF)와 5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일상 생활 스트레스 평가척도(Daily Stress Inventory:DSI)를 1회의 월경주기 동안 전향적으로 매일 평 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DRF 항목 중 월경전기동안의 평균점수가 최소한 한 항목에서 3점 이상이 되 고 그 변화정도가 월경후기에 비해 30%이상 높은 경우를 월경전기증후군(PMS, N=20)으로 정의하 였고 나머지를 대조군(N=26)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각 군의 월경주기에 따른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사건과 영향 및 영향/사건비율점수를 비교하였다. 통계방법은 t-test, chi-square test,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였으며, simple;repeated contrast test로 사후검증하였다. 결 과: 전체집단에서의 사건점수와 영향점수는 월경전기와 월경기 모두 월경후기에 비해 의미 있는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영향/사건 비율 점수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구 체적인 요인들을 보면, 대인관계와 인지 스트레스 영향점수에서 월경후기에 비하여 월경전기에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PMS군에서는 영향점수에서 월경후기에 비하여 월경전기에 의미 있는 증가를 보 여주었으나, 사건점수와 영향/사건비율점수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는 사건점수와 영향점수에서 모두 월경전기의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PMS군과 대조군간의 비교에서 PMS군은 사건점수와 영향점수 모두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향/사건비 율점수에서 의미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젊은 여성들은 월경주기에 따라 월경후기에 비해, 월경전기와 월경기에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더 많 이 경험하며 그 영향도 더 많이 받는다. PMS군과 대조군의 비교에서는 PMS군이 대조군에 비해 일 상생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지는 않지만, 월경전기에는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 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Although numerous etiological models of premenstrual syndrome(PMS) such as the biochemical, hormonal, psychosocial models have been proposed, there is no consistent conclusion. Especially, in psychosocial model, state-dependen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tressors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phases was suggested for P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l cycle and daily minor stressors in young women, and vulnerability to minor stressors in young women with PMS. Methods:46 female college students completed modified daily rating form(DRF) of premenstrual symptoms which based on DSM-IV criteria for PMDD, and daily stress inventory(DSI) during at least one menstrual cycle. If the mean score of at least one DRF item during premenstrual phase were more than 3 on 6 point scale and 30% increase in symptom severity during premenstrual phase compared with during postmenstrual phase, they were referred as PMS group(N=20), and the others as non-PMS group(N=26). The event, impact, and impact/event ratio scores of DSI were compared in two groups.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 ANOVA. And post hoc simple;repeated contrast test were performed when indicated by significant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In all subjects, the event and the impact scores in premenstrual and menstrual ph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ostmenstrual phase. Among the DSI categories, the impact scores of interpersonal problem and cognitive stressors in premenstrual and menstrual ph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ostmenstrual phase. In PM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menstrual and postmenstrual phase in the impact score but not in the event score, and the event and the impact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enstrual phase than postmenstrual phase. In non- PMS group, the event and the impact scores in premenstrual and menstrual ph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ostmenstrual pha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event ratio scores in both groups. Between the PMS and non-PMS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event ratio scores in premenstrual phase, but not in the event score and the impact scores at any phase. Conclusion:Young women may experience more daily minor stressors and may be impacted more severely in premenstrual and menstrual phases than in postmenstrual phase. In premenstrual phase, the young women with PMS are likely to have more vulnerability to daily minor stressors than controls. Further studies using larger sample size with varied age are required.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기윤,조숙행,김정웅,이현수,고승덕. (2002).월경전기증후군을 보이는 젊은 여성에서의 Minor Stress에 대한 취약성. 신경정신의학, 41 (6), 1109-1119

MLA

소기윤,조숙행,김정웅,이현수,고승덕. "월경전기증후군을 보이는 젊은 여성에서의 Minor Stress에 대한 취약성." 신경정신의학, 41.6(2002): 1109-1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