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returns to Dokdo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저자명
- 이은미(Eun Mi Lee) 송임근(Imgeun Song) 제민지(Minji Che) 박선주(SeonJoo Park)
- 간행물 정보
- 『독도연구』제37호, 311~3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도는 한반도의 동쪽 끝에 위치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섬으로, 독특한 식생과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다.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은 1978년 독도 동도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후 두 차례 추가적인 관찰이 이루어졌으나, 오랫동안 해당 종의 자생 여부는 불확실한 상태였다. 그러나 2023년 서도 암벽 지역에서 다수의 갯메꽃 군락이 새롭게 발견되었으며, 다수의 개체가 개화하는 등 건강한 생육 상태를 보였다. 이번 발견은 독도의 자연 회복력과 독도의 생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갯메꽃 자생 집단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지속적인 생태학적 평가와 보전 활동은 독도의 생물다양성을 장기적으로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Dokdo is significant island with unique vegetation and rich biodiversity. The beach morning glory (Calystegia soldanella) was first reported on Dongdo (East Islet) in 1978, followed by an additional observations, but its natural presence remained uncertain for a long time. However, in 2023, a new colony of C. soldanella was discovered on the cliffs of Seodo (West Islet), with numerous blooming individuals indicating healthy growth conditions. This discovery suggests the resilience of Dokdo's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tability of its ecosystem,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regular monitoring of C. soldanella populations. Furthermore, ongoing ecological assessments and conservation efforts are essential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okdo's biodiversity.
목차
1. Introduction
2. Research Background
3. Research Purpose and Recent Discovery
4. Discussion and Implications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도연구 제37호 목차
- 나카이 요자부로의 오가사와라島 도항 시도의 의미
- 한일 국교 정상화 과정상 ‘독도 문제’의 전개 과정 분석 - 1963~1965년 독도 관련 국내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전쟁과 독도 사이버 방어전략 - 러시아-우크라이나 정보심리전 사례를 중심으로
- 조선 후기 武官 張漢相의 생애와 활동
- 장한상의 임술(1682) 통신사행 참여 연구
- 국내 울향(鬱香)의 분포 조사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울릉도 인식
- 1905년 시마네현 고시에 관한 비판론 재검토
- 1905년 일본의 독도 침탈과 일제식민주의에 대한 다치 사쿠타로의 국제법 법리 왜곡 검토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한국 현대사적 의미 - 영토 조항을 중심으로
- The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returns to Dokdo
- 2022 개정교육과정 지리 과목의 독도 내용 기술 분석 - 한국지리탐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