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교육과정 지리 과목의 독도 내용 기술 분석 - 한국지리탐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Description of Dokdo in the Geography Subjec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Exploration of Korean Geograph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이두현(Du-Hyun Lee)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7호, 285~30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교육과정의 사회과 내 지리 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독도에 대한 기술을 2015 개정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독도에 대한 학습 내용이 교육과정에 기술된 지리 과목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한국지리,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한국지리탐구였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일반선택 과목인 한국지리에서는 ‘국토 인식과 지리 정보’에서,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진로선택 과목인 한국지리탐구에서는 ‘동아시아의 갈등과 공존 탐구’에서 독도 교육이 이루어졌다. 두 교육과정 모두 내용 요소에서‘독도’라는 용어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영토 전반에 대한 기술을 하였고, 한국지리에서는 성취기준과 해설에서, 한국지리탐구에서는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에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다만 한국지리에서는 영토 문제 내에서 독도의 성취 기준이 제시되어 있고, 한국지리탐구에서는 ‘독도와 동해 지명과 관련된 일본과의 영역 갈등’으로 기술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escriptions of Dokdo in the geography subjec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ith thos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geography subject that covered Dokdo was “Korean Geography”, whil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t is “Exploration of Korean Geography”. In the 2015 curriculum, Dokdo education was included under “National Land Recogni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general elective subject “Korean Geography”. In contrast, in the 2022 curriculum, it is included under “Exploration of Conflicts and Coexistence in East Asia” in the career elective subject “Exploration of Korean Geography”. Neither curriculum explicitly mentions the term “Dokdo” in the content elements, but they do include descriptions of territorial issues in general. The 2015 curriculum provides specific detail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explanations in “Korean Geography”, while the 2022 curriculum addresses it in the considerations for apply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Exploration of Korean Geography”. However, in “Korean Geography”,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okdo are presented within the context of territorial issues, whereas in “Exploration of Korean Geography”, it is described as “territorial conflicts with Japan related to Dokdo and the name of the East Sea”,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is regard.

목차

1. 머리말
2. 2015와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지리 과목의 편성
3. 교육과정 분석
4. 종합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두현(Du-Hyun Lee). (2024).2022 개정교육과정 지리 과목의 독도 내용 기술 분석 - 한국지리탐구를 중심으로. 독도연구, (), 285-309

MLA

이두현(Du-Hyun Lee). "2022 개정교육과정 지리 과목의 독도 내용 기술 분석 - 한국지리탐구를 중심으로." 독도연구, (2024): 285-3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