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폴란드와 헝가리의 입헌 포퓰리즘과 사법부 제약
이용수 0
- 영문명
- Constitutional populism and court-curbing in Poland and Hungary
- 발행기관
- 통합유럽연구회
- 저자명
- 김신규(Shinkyu Kim)
- 간행물 정보
- 『통합유럽연구』제15권 3집, 303~3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문에서는 헝가리와 폴란드의 포퓰리즘 정권이 어떤 방식으로 헌재를 비롯한 사법부 전체를 공격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공격이 성공한 이후에는 사법부를 어떤 식으로 정권의 도구로 활용했는지를 살펴본다. 제2절에서는 PiS와 Fidesz 정권이 헌재와 사법부를 공격한 방식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헌재와 사법부 공격을 공식적인 방법과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구분하고 사법부에 대한 ‘인사-조정(court-packing)’에서부터 헌법과 법을 통한 사법부 포획을 공식적인 사법부-제약(court-curbing)으로 정의한다. 또한 비공식적 사법부-제약은 헌재의 판결을 무시하고 단순 입법을 통해 헌법을 우회하며, 법관에 대한 개별적 공격을 통해 사법부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방법을 의미한다. 본문에서는 공식적인 제약과 비공식적인 제약이 헌재와 사법부의 독립성을 훼손하는 속도의 차이가 있지만 유사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제3절에서는 폴란드 PiS를 통해 헌재와 사법부의 인사-조정을 포함한 비공식적 사법부-제약을 살펴보고, 제4절에서는 신헌법을 제정하고 이후 수차례의 개헌과 입법을 통해 헌재를 포함한 사법부 전체를 정권의 도구로 전락시킨 헝가리 Fidesz의 공식적인 사법부 제약에 주목한다. 제5절 맺음말에서는 양국 사법부-제약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비교하고 향후 양국의 법치와 민주주의가 정상적인 궤도로 돌아올 수 있을지 전망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the populist regimes of Hungary and Poland have attacked the entire judiciary, including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how they have used the judiciary as a tool of the regime after the successful attack. In Section 2, I examine how the PiS and Fidesz regimes have attacked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judiciary. To this end, I distinguish between formal and informal methods of attacking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judiciary, and define formal ‘court-curbing’ as capturing the judiciary through the Constitution and law with ‘court-packing’. In addition, informal judiciary-curbing refers to methods of ignor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s, circumventing the Constitution through simple legislation, and undermining trust in the judiciary through blackmails and attacks on judges. In this article, I confirm that formal and informal curbing have similar results, although they differ in the speed at which they undermine the independen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judiciary. Section 3 examines the informal methods of court-curbing, including the court-pack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judiciary through the Polish PiS, and Section 4 focuses on the formal curbing of the Hungarian Fidesz, which degraded the entire judiciary, including the Constitutional Court, to a tool of the regime through several constitutional amendments and legislation. Section 5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ourt-curbing of the PiS and Fidesz and looks forward to whether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in the two countries can return to democratic trajectory in the near future.
목차
1. 머리말
2. 입헌 포퓰리즘 정권의 공식, 비공식 사법부-제약
3. 인사-조정과 헌법 우회를 통한 사법부 마비화: 폴란드
4. 신헌법과 개헌을 통한 사법부 도구화: 헝가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페르니쿠스가 빚진 이슬람 천문학자들 -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의 개선과 한계
- 병원기사단의 창립과 서비스 활동: 병원과 사회 복지에 관하여
- 유럽의 AI 거버넌스와 미디어 책임
- 페미니스트 외교정책의 차별화된 유럽화: 스웨덴 페미니스트 외교정책의 유럽내 확산을 중심으로
- 로제루 2세 대관복: 9세기 이후 시칠리아에 남은 아랍-이슬람 문화
- 엘 시드의 노래: 기독교와 이슬람의 조우 속 저항의 기억
- 나폴레옹 1세의 유럽통합이 실패한 근본적 원인에 관한 연구 - 보편제국(Empire universel) 측면과 연방화(Fédéralisation) 측면 간 모순을 중심으로
- <네 명의 무어인 상(像)>과 리보르노의 무슬림 노예들. 자유와 관용의 상징에서 ‘역겨운’ 기념물로
- 옵트아웃은 영국의 브렉시트를 촉발했는가?: 옵트아웃의 법적, 정치적 의의
- 펠레그리노 아르투지의 요리책과 현대 ‘이탈리아’ 요리의 탄생
- 유럽의 장기 역사와 정치 문법: 방법론적 고찰
- 폴란드와 헝가리의 입헌 포퓰리즘과 사법부 제약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시민정치연구 제9호 목차
- Exploring the Women’s Community Move ment in Manipur, India: A Review Based Analysis
- 일본 자민당 아베 정권 안보법제정비법안 입법과정 연구 : 내각-정당-국회 관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