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펠레그리노 아르투지의 요리책과 현대 ‘이탈리아’ 요리의 탄생
이용수 0
- 영문명
- Pellgrino Artusi's cookbook and the birth of modern Italian cuisine
- 발행기관
- 통합유럽연구회
- 저자명
- 문준영(Jun Young Moon)
- 간행물 정보
- 『통합유럽연구』제15권 3집, 149~1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891년 은퇴한 사업가이자 아마추어 문학도인 펠레그리노 아르투지는 이탈리아의 여러 지역 요리들을 수집, 소개한 책을 출간함으로써 다양한 지역적 음식문화 전통들을 새로운 통일 국가 이탈리아의 문화로 조화롭게 통합, 수용하는 길을 제시했다. 이 책은 단순한 요리 지침서를 넘어, 이탈리아 국민들에게 음식문화와 관련된 공통의 언어와 문화적 정체성을 제공하는 바탕을 마련하였고, 현대 이탈리아 요리 문화와 언어의 표준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본 논문은 아르투지의 이 요리책 『부엌의 과학과 좋은 식사의 기술』이 큰 성공을 거두며 오랫동안 독자들의 사랑을 받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현대 이탈리아 요리의 대중화와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을 조명하였다.
영문 초록
In 1891, retired businessman and amateur literary enthusiast Pellegrino Artusi published a book that collected and introduced various regional recipes, offering a way to harmoniously integrate Italy's diverse culinary traditions into the culture of the newly unified nation. More than just a cookbook, this work provided Italians with a shared culinary language and cultural identity as the same nation,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standardization of modern Italian culinary culture and language. This paper analyzes the reasons behind the enduring success of Artusi's The Science in the Kitchen and the Art of Eating Well (1891), examining its impact on the popularization of Italian cuisine and the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for foods in modern Italy.
목차
1. 서론: 국민 정체성과 문화 그리고 요리
2. 펠레그리노 아르투지: 성공한 사업가에서 작가가 되기까지
3. 『부엌의 과학과 좋은 식사의 기술』 탄생과 아르투지의 말년
4. 『부엌의 과학』과 현대 이탈리아 요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페르니쿠스가 빚진 이슬람 천문학자들 -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의 개선과 한계
- 병원기사단의 창립과 서비스 활동: 병원과 사회 복지에 관하여
- 유럽의 AI 거버넌스와 미디어 책임
- 페미니스트 외교정책의 차별화된 유럽화: 스웨덴 페미니스트 외교정책의 유럽내 확산을 중심으로
- 로제루 2세 대관복: 9세기 이후 시칠리아에 남은 아랍-이슬람 문화
- 엘 시드의 노래: 기독교와 이슬람의 조우 속 저항의 기억
- 나폴레옹 1세의 유럽통합이 실패한 근본적 원인에 관한 연구 - 보편제국(Empire universel) 측면과 연방화(Fédéralisation) 측면 간 모순을 중심으로
- <네 명의 무어인 상(像)>과 리보르노의 무슬림 노예들. 자유와 관용의 상징에서 ‘역겨운’ 기념물로
- 옵트아웃은 영국의 브렉시트를 촉발했는가?: 옵트아웃의 법적, 정치적 의의
- 펠레그리노 아르투지의 요리책과 현대 ‘이탈리아’ 요리의 탄생
- 유럽의 장기 역사와 정치 문법: 방법론적 고찰
- 폴란드와 헝가리의 입헌 포퓰리즘과 사법부 제약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시민정치연구 제9호 목차
- Exploring the Women’s Community Move ment in Manipur, India: A Review Based Analysis
- 일본 자민당 아베 정권 안보법제정비법안 입법과정 연구 : 내각-정당-국회 관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