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대상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about the Quality of Life for Familie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권현수(Hyunsoo Kwon) 김경화(Kyeong-Hwa Kim)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1호, 91~1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집단별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2주기 특수교육 종단조사에 참여한 1800명 패널의 보호자가 응답한 결과를 장애유형, 배치유형, 학교급에 따라 비교하여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적인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서및행동장애 학생보다 청각장애 학생의 가족이 삶의 질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고 특수학교에 비해 일반학교 학생의 가족이 삶의 질에 대한 만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고등학교 학생 가족의 삶의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애유형, 배치유형, 학교급을 고려한 가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이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후속연구를 통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별 요구에 맞는 가족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ie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ide ntify differences across groups.
Methods The data from 1,800 families participating in the second cycle of the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were analyzed and compared based on disability type, placement type, and school level.
Results: Overall, familie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reported a quality of life that was above average. Specifically, families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compared to families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imilarly, families of students in general schools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about quality of life than those in special schools. Whil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school level, families of high school students expressed higher satisfaction about quality of life compared to other levels.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family support systems that take into account disability type, placement type, and school level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families.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uture research to identify various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nd to develop tailored support programs for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sidering their individual differ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8권 제1호 목차
- 통합교육 지원 및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비장애 아동 보호자의 통합놀이터 이용 경험과 활성화 요구
- 뇌성/피질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AAC 설계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코핑 리뷰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연구 : 가정·학교생활을 중심으로
- 장애아동 돌봄에 관한 뉴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연구: 정부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비교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수 탐색
-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 장애청소년의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경기도 내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업무담당자와 이용자의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다문화 가정 장애아동 특수교육 지원을 위한 국제협약 기준과 국내법 고찰
- 뇌성마비 성인의 삶의 질 변화와 전환점에 관한 질적 연구: 신체상과의 관계
- 지체장애인의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 연구: A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실태 분석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