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뇌성/피질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AAC 설계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코핑 리뷰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s: A Scoping Review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조아라(Ara Cho) 박진석(Jinseok Park) 박은혜(Eunhye Park)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1호, 23~4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뇌성/피질시각장애(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 이하 CVI)는 뇌의 시각 정보처리 기능의 어려움으로 인해 독특한 시각적·의사소통적 요구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CVI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접근 및 실제를 분석함으로써 시각 특성을 토대로 AAC 설계 고려사항 및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자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의 연구 절차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최종 14편의 선행 연구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연구결과 이를 AAC 체계 구성요소인 상징, 도구, 기법, 전략에 따라 선행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CVI 학생을 위한 AAC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논의 및 결론 CVI 학생의 AAC 접근 및 활용을 위해서는 이들이 가진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AAC설계와 함께 대화 상대방의 의사소통 지원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Students with 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 (CVI) have unique challenges in processing visual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pproaches for students with CVI. Method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coping review utilizing a systematic protocol and identified 14 articles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The studi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key trends and practices related to AAC system components, focusing on visual and sensory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s The findings highlighted critical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AAC systems that accommodate the exceptional visu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CVI. Strategies for communication partners and educators were additionally identified to enhance interaction and support. Discussion &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effective access to and utilization of AAC for students with CVI require not only AAC designs tailored to their specific visual characteristics but also communication support from partners in convers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아라(Ara Cho),박진석(Jinseok Park),박은혜(Eunhye Park). (2025).뇌성/피질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AAC 설계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코핑 리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1), 23-40

MLA

조아라(Ara Cho),박진석(Jinseok Park),박은혜(Eunhye Park). "뇌성/피질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AAC 설계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코핑 리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1(2025): 2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