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연구 : 가정·학교생활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Metaverse Educational Content for Enhancing the Daily Living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Home and School Life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옥(Kyoung Ock Park) 정규만(Kyuman Jeong) 이대송(Dae Song Lee) 옥민욱(Min Wook Ok) 한경인(Kyungin Ha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1호, 41~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사용성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ADDIE 모형(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을 활용하여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과 일상생활 기술 관련 문헌 분석 및 본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의 요구도 분석을종합하여 최종적으로 4가지 주제(하교 후 정리정돈 하기, 상황별 알맞은 인사하기, 학교 급식하기, 심부름하기) 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는 현장 특수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개발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시공간 제약 없이 반복 학습이 가능하고, 2) 일상생활기술과 연계된 다양한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3) 교과 수업 시간에 즉시 활용 가능하고, 4) 게임 형식으로 학습 동기를 유발하며, 5) 퀴즈와 활동지를 통한 학습 확인이 가능하다. 사용성 평가 결과 교수·학습 지원, 인터페이스, 기술지원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도구로 평가되었다. 향후 다양한 일상생활 영역으로의 콘텐츠 확장과 장애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효과성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metaverse educational content to enhance the daily living skills for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evaluate its usability.
Method The ADDIE model was utiliz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content. In the analysis phas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literature related to daily living skills, and the needs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led to the finding of four themes: organizing after school, appropriate greetings in various situations, school meal management, and running errands. Usability evaluations of the developed metaverse educational content were conducted with 16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ield.
Results The developed metaverse educational conten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allows for repetitive learning without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2) offers various educational effects related to daily living skills, 3) can be immediately utilized during class time, 4) motivates learning through game formats, and 5) enables learning assessment through quizzes and activity sheets. The usability evaluation received positive ratings in the areas of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interface, and technical support.
Conclusion The metaverse educational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valuat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for enhancing the daily living skills for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expanding content to various areas of daily living and developing tailored cont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as well as conducting follow-up studies to verify long-term effectiv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ADDIE 모형을 활용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 개발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8권 제1호 목차
- 통합교육 지원 및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비장애 아동 보호자의 통합놀이터 이용 경험과 활성화 요구
- 뇌성/피질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AAC 설계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코핑 리뷰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연구 : 가정·학교생활을 중심으로
- 장애아동 돌봄에 관한 뉴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연구: 정부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비교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수 탐색
-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 장애청소년의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경기도 내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업무담당자와 이용자의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다문화 가정 장애아동 특수교육 지원을 위한 국제협약 기준과 국내법 고찰
- 뇌성마비 성인의 삶의 질 변화와 전환점에 관한 질적 연구: 신체상과의 관계
- 지체장애인의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 연구: A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실태 분석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