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장애인의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 연구: A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실태 분석 및 정책 제언
이용수 0
- 영문명
- Enhancing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 Case Study of A Metropolitan City With Policy Recommendation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호(Jaeho Lee)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1호, 179~2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A 광역시 지체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현황을 파악하고,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체장애인의 평생교육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A 광역시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변인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 광역시 지체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31.5%로 나타났으며, 문화예술 향유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이동능력, 교육수준, 가족 지지도, 경제활동 여부 등이 확인되었다.
결론 지체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를 위해 물리적 접근성 개선,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재정적 지원 강화, 인적 지원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특히 이동능력 향상과 가족 지지도 증진을 위한 집중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mong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A Metropolitan City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eng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ought to propose policy enhancements to improve accessibility to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8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siding in A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0.0 for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A Metropolitan City was 31.5%, with cultural and arts programs demonstrating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clude mobility, educational attainment, familial support, and status of economic activity.
Conclusion To facilitate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nhancement of physical accessibility,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grams, augmented financial support, and establishment of human resource support systems are imperative. Specifically, comprehensive support to improve mobility and strengthen family support mechanisms is essential.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and suggest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8권 제1호 목차
- 통합교육 지원 및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비장애 아동 보호자의 통합놀이터 이용 경험과 활성화 요구
- 뇌성/피질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AAC 설계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코핑 리뷰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연구 : 가정·학교생활을 중심으로
- 장애아동 돌봄에 관한 뉴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연구: 정부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비교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수 탐색
-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 장애청소년의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경기도 내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업무담당자와 이용자의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다문화 가정 장애아동 특수교육 지원을 위한 국제협약 기준과 국내법 고찰
- 뇌성마비 성인의 삶의 질 변화와 전환점에 관한 질적 연구: 신체상과의 관계
- 지체장애인의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 연구: A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실태 분석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