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 돌봄에 관한 뉴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연구: 정부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ext Mining of News Articles on the Car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across Regim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서보순(Bo-Soon Seo)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1호, 67~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뉴스 기사는 우리 사회의 쟁점에 관한 현상, 사회구성원의 인식과 목소리, 사회 및 국가 체계의 움직임을 드러내고 공유되는 텍스트이다. 이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돌봄에 대한 기사를 분석하여, 우리 사회가 이를바라보는 초점과 시선을 발견하고, 그 흐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시기에 보도된 장애아동 돌봄 관련 기사 6,948건을 텍스트 마이닝 분석했다. 세 정부 시기별 출현 빈도, TF-IDF, 공출현 빈도를 살펴보아 시기별 흐름을 탐색하고, 전체 자료에 대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시행하여, 장애아동 돌봄 기사가 형성하는 주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장애아동 돌봄이 복지의 영역으로 자리 잡으며 가족 지원과 학교 교육에서의 인프라 마련 노력이 드러났다. 둘째,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가족과 기관 중심의 돌봄 현상이 확인되고, 발달장애, 장애인의 생애주기, 의료체계가 초점이었다, 셋째, 윤석열 정부 시기는 발달장애와 중도중복장애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며, 가족과 전담기관 중심의 정책과 돌봄-교육-의료를 아우르는 인프라에 대한 논의가 중심이었다. 넷째, 장애아동 돌봄 기사의 토픽은 ‘학습권으로 보장되어야 할 돌봄’, ‘서비스 사업으로 제공되는 돌봄’, ‘장애아동 가족의 부담을 덜기 위한 공적 지원’, ‘약속하지만 실현하기 어려운 돌봄권’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언론 기사에 투영되는 장애아동 돌봄에 대한 우리 사회의 현상, 인식, 목소리, 움직임, 논쟁을 확인하였으며, 돌봄을 기반으로 아동의 배움과 삶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News articles are texts that reveal and share phenomena, the perceptions of society’s members, and the actions of social and state systems on social issues. This study analyzed articles on the car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discover the focus and perspective of how society views this issue, and to analyze the flow of the issue.
Metho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TF-IDF, and co-occurrence of the articles during the three administrations were examined to explore the flow over time,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ategories of topics.
Results First, during the Park administration, the caring was positioned as a welfare issue, revealing efforts to support families and provide infrastructure in school education. Second, during the Moon administration, family-institution-centered caring appeared, and the focus was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life cycle, and the healthcare system. Third, during the Yoon administration, the focus was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discussions on family-and institution-centered policies and infrastructure for caring, education, and healthcare were prevalent. Fourth, topics were identified as ‘caring that should be guaranteed as a right to learn,’ ‘caring provided as a service,’ ‘public support to ease the burden on families with children’, and ‘the promised but difficult to realize right to caring.’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e of phenomena, perceptions, opinions, movements, and debates in our society as reflected in news articl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supporting children’s learning and lives based on car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8권 제1호 목차
- 통합교육 지원 및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비장애 아동 보호자의 통합놀이터 이용 경험과 활성화 요구
- 뇌성/피질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AAC 설계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코핑 리뷰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교육콘텐츠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연구 : 가정·학교생활을 중심으로
- 장애아동 돌봄에 관한 뉴스 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연구: 정부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비교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장애인의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수 탐색
-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 장애청소년의 장애수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경기도 내 지체중복장애 거점센터 업무담당자와 이용자의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다문화 가정 장애아동 특수교육 지원을 위한 국제협약 기준과 국내법 고찰
- 뇌성마비 성인의 삶의 질 변화와 전환점에 관한 질적 연구: 신체상과의 관계
- 지체장애인의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 연구: A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실태 분석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목차
- 시민 자격의 규정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의의
-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관계, 진로개척 역량과의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