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습형 학교 안전교육을 위한 학교 안전교육 현황 및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the Seven Standards for Hands-on School Safety Education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박찬곤(Chan Gon Par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7호, 119~13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안전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안전교육현황과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중·고 교사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안전교육의 현황, 문제점, 실습형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분석하여 실습 우선 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학교안전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했으나, 현행 이론 중심 교육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반면 실습형 안전교육의 도입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전담교사 배치 및 시설·장비 지원 등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 중 학교급별 실습 우선 주제를 도출하고, 초·중·고 공통으로 중요한 7개 주제를 실습 필수 주제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실습형 안전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네 가지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실습형 안전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네 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법령 개정을 통해 안전교육 교육시수를 현실화하고 학교가 필요한 주제를 교육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해야 한다. 둘째, 실습형 안전교육전담교사제도를 도입하고 양성과정과 교사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시설·장비 마련을 위한 지속적인 예산지원과 실습형 안전교육에 관한 표준안을 마련하여 보급해야 한다. 넷째, 법령 개정 전까지는 창의적체험 활동시간을 활용한 실습형 안전교육과 학교장 인증제 도입과 같은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학교안전교육의 실질적 효과를 높이고 실습형 안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nd the seven standards for school safety education, aiming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A survey of 9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challenges, and perceptions of hands-on safety education. The seven standards were also analyzed to identify priority topics for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highly valued the need for school safety education but noted the limitations of its current theory-based approach. They positively evaluated the necessity and benefits of hands-on safety education and emphasized the need for policy improvements, such as assigning dedicated teachers and supporting facilities and equipment. Seven essential topics common to all school levels were identified as priorities for practice. This study makes four recommend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hands-on safety education. First, revise the law to align training hours with practical needs and allow schools flexibility in selecting topics. Second, introduce a dedicated teacher system supported by training programs and networks. Third, provide sustained budget support for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develop standardized guidelines. Fourth, until legal revisions are made, implement policies such as utilizing creative activity time and introducing a school principal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nsight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nd offers policy directions for revitalizing hands-on safet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곤(Chan Gon Park). (2024).실습형 학교 안전교육을 위한 학교 안전교육 현황 및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분석. 안전문화연구, (), 119-137

MLA

박찬곤(Chan Gon Park). "실습형 학교 안전교육을 위한 학교 안전교육 현황 및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분석." 안전문화연구, (2024): 119-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