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제요인들이 아동·청소년기 범죄피해 궤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영문명
The influence of control factors on victimization trajecto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상문(Sang Moon Le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7호, 217~23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들의 다중범죄피해와 반복범죄피해 현상에 근거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범죄피해 과정에서 통제 요인들의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하였다. 복합범죄피해 범주를 기준으로 한 범죄피해 유형은 아동·청소년의 발달시기에 따라 변이를 나타낼 것이다. 복합범죄피해 범주를 기준으로 한 범죄피해 유형은 시간에 경과에 따라 다양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 부모 감독, 부모 유대, 친구 유대, 자아통제력이 범죄피해와 범죄피해의 궤적에 영향을 줄 것이다. 한국아동·패널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 시기를 중심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성장모형분석, 잠재적 계층모형분석, 성장혼합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범죄피해 유형은 감소하고 있다. 범죄피해 유형의 궤적은 위험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별될 수 있다. 범죄피해 궤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통제요인은 자아통제력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범죄피해 유형을 기준으로 초등학교 시기가 가장 취약하다. 아동·청소년기의 발달과정에서 범죄피해에 취약한 집단이 존재한다. 범죄피해 유형의 궤적은 사건의존적 시각보다는 이질성 시각에 의해 잘 설명되고 있다. 범죄피해의 위험요인 중 하나는 낮은 자아통제력 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trol factors on the process of victimization over time based on the phenomenon of multiple victimization and repeat victimiz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types of victimization based on the category of poly-victimization can vary by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types of victimization based on the category of poly-victimization can exist in various groups over time; parental supervision, parental bonds, peer bonds, and self-control can affect victimization and victimization trajectories.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focusing on the period from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Frequency analysis, growth model analysis, latent class model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victimization are decreasing over time; victimization trajectories can be classified as risk group and general group; the most influential control factor on victimization trajectories is self-contro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is the most vulnerable period based on the types of victimization; there is a group that is vulnerable to victimization dur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victimization trajectories are better explained by the heterogeneity perspective than the event-dependence perspective; one of the risk factors for victimization is low self-contro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문(Sang Moon Lee). (2024).통제요인들이 아동·청소년기 범죄피해 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217-234

MLA

이상문(Sang Moon Lee). "통제요인들이 아동·청소년기 범죄피해 궤적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4): 217-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