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경험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연구
이용수 59
-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urriculum in the Craft Field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서지민(Ji-Min Surh)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7집 3권, 25~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행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은 2016년 이후 개정되지 않아 현대 사회의 변화와 공예 분야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심층면담의 분석을 통해 해당 분야의 문제점을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한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분석 및 설문과 심층면담을 통한 수강경험 분석 결과, 현재의 교육과정에 공예 분야만의 전문적 내용과 실제 업무 관련 내용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사회 변화에 따른 비대면 교육 대비가 미비한 점, 실습과 발표를 위한 공간 부족과 자격 취득 후 교류 기회가 부족한 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제언하였다. 교육 내용적 측면에서는 일부 개설 과목에서 중복된 내용을 재편할 필요성과, 실습 교육 강화 및 공예 관련 이론의 보강이 필요하다.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사회 변화에 대비한 비대면 교육환경 지원 필요성이 요구된다. 교육환경 측면에서는 실습 공간과 전시 공간 등의 확충 필요성을, 향후 과제 측면에서는 커뮤니티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urriculum has not been revised since 2016, so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changes in modern society and the demands of the craft field.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roblems in the fiel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literature surveys, surveys, and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urse experience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curriculum lacks specialized and actual work-related contents unique to the craft sector. It also emerged that there was a lack of space for practice and presentation, opportunities for exchange after acquisition, and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non-face-to-face education due to social chang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urriculum in the craft field was sought and suggested.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overlapping contents in some of the courses opened, strengthen practical education, and reinforce craft-related theories.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there is a need for support for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reparation for social change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expanding practice spaces and exhibition spaces was suggested, and in terms of future tasks, the necessity of building a community was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이해와 공예 분야 현황
Ⅲ. 연구 조사 및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7집 3권 목차
-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경험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연구
- 에피소드 기억(Episodic Memory)을 중점으로 한 바느질의 조형 표현 연구 - 김수자와 루이즈 부르주아를 중심으로
- 아이 웨이웨이(艾未未)의 도자 작품에 나타난 저항성과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
-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 방법 및 가능성 연구
- 보물 제336호 정지장군 갑옷(경번갑) 원형 복원을 위한 제작기술 연구
- 디지털 시대에서 장신구의 중개적 역할 연구 - ‘관계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
- 초현실주의 오브제와 현대도예의 관계
- UN의 SDGs와 텍스타일디자인 산업의 유사도 분석 -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중심으로
- 소규모 외식 매장에서 활용 가능한 서빙 로봇 폼펙터 제안 연구
- 전통매듭의 형태적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