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시대에서 장신구의 중개적 역할 연구 - ‘관계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54
- 영문명
- Research on the Mediating Role of Jewelry in the Digital Age : Focusing on the Theory of ‘Relational Aesthetic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곽이빙(Yibing Guo) 김정지(Jung-Ji Kim)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7집 3권, 9~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디지털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장신구의 ‘중개’ 역할에 대한 연구로,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가 제안한 ‘관계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 한다. 전통 장신구와 현대 디지털 기술이 결합된 사례를 분석하여 인간관계에서 예술 작품으로서의 장신구의 역할을 탐구하였다. 먼저 관계 미학의 기본 개념과 현대 사회에서의 의미를 설명하고 감정 중개로서의 장신구의 표현하는 방식을 분석한 후, 전통적인 장신구와 현대 디지털 기술의 영향을 받은 장신구의 중개 기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장신구는 착용자에게 감정적 의미를 부여해 왔으며, 생체 데이터의 시각화, 블루투스와 NFC 등과 같은 현대 디지털 기술이 이러한 기능을 더욱 강화시켰다.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사례 조사를 통하여 장신구가 단순한 관상용 예술품을 넘어 인적 교류를 촉진하는 중요한 중개가 될 수 있는 동적인 감정 상호작용 도구로 확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차후의 연구는 상호작용성을 갖춘 착용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 장신구에 대한 탐구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mediating” role of jewelry in the digital age, focusing on Nicolas Bourriaud's theory of “relational aesthetics.” By analyzing cases where traditional jewelry is combined with modern digital technology, the research explores the role of jewelry as an artwork in human relationships. The study first explains the basic concepts of relational aesthetics and their significance in contemporary society, then analyzes how jewelry serves as an emotional mediator. The research compares the mediating functions of traditional jewelry with those influenced by modern digital technology. The findings suggest that traditionally, jewelry has conveyed emotional significance to the wearer, and modern digital technologies like biometric data visualization, Bluetooth, and NFC have further enhanced this function.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where digital technologies are integrated, the research reveals that jewelry can evolve beyond mere ornamental art to become a dynamic tool for emotional interaction, facilitating human connections. Future research may explore jewelry that creates interactive wearing experi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장신구의 ‘중개’ 역할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7집 3권 목차
-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경험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연구
- 에피소드 기억(Episodic Memory)을 중점으로 한 바느질의 조형 표현 연구 - 김수자와 루이즈 부르주아를 중심으로
- 아이 웨이웨이(艾未未)의 도자 작품에 나타난 저항성과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
-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 방법 및 가능성 연구
- 보물 제336호 정지장군 갑옷(경번갑) 원형 복원을 위한 제작기술 연구
- 디지털 시대에서 장신구의 중개적 역할 연구 - ‘관계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
- 초현실주의 오브제와 현대도예의 관계
- UN의 SDGs와 텍스타일디자인 산업의 유사도 분석 -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중심으로
- 소규모 외식 매장에서 활용 가능한 서빙 로봇 폼펙터 제안 연구
- 전통매듭의 형태적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