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6世紀 金官加耶 圈域 古墳群의 二段堀壙 棺床 硏究

이용수 14

영문명
A Study on the Two-stage Excavation Coffin Platforms of the Ancient Tombs in Geumgwan Gaya Area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윤영석(Youngseok Yoo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100호, 155~19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고김해만과 현재의 부산, 기장 일대의 4~6세기 고분군에서 확인되는 묘광 바닥면에 평면상 말각세장방형으로 일정 깊이로 의도적으로 굴착된 이단굴광 수혈의 용도 및 구조를 고찰하여 그 용도와 변화양상, 그 성격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단굴광은 시상대를 고르게 깔기 위한 정지면 혹은 훼기를 하는 일종의 제의용 수혈로 파악하는 의견 등다양한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필자는 고 김해만의 고분군 중 대성동 고분군 집단의 흥기 이전의 초기 중심집단이던 양동리 고분군의 목곽묘와 과도기 수혈식석곽묘 내 피장자 안치공간에 이단으로 굴착된 시설에 주목했다. 주요 특징으로 세장방형의 평면형태로 단면 ‘⊔’상 또는 ‘∪’상의 일정 깊이로 굴착이 된 구조이고 내부에 소형 할석과 고임석이 규칙성 있는 관대가 시설되어 있다. 그리고 굴광 내부에서 목관의 결구용으로 사용된 꺾쇠와 관정이 출토되는 것에 주목해 해당시설의 원류와 성격을 연구해보았다. 김두철(2010)의 전기가야의 묘제 중 목관 받침대인 관상(棺床) 연구에 따르면 양동리 고분군의 관상은 외부집단(복천동)과의 교류과정에서 수용된 요상(凹床)과 대성동형의 평상(平床)이 병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양동리의 경우, 구릉 중심부의 상위집단 묘제(이혈주부곽식 목곽묘)의 부속시설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후 4세기 중엽에 사면부 및 말단부의 조영된 요상(A2a식) 목곽묘(394호)에서 이단굴광 구조의 초기 유형이 축조됨을 시작으로 5세기 초엽의 과도기 수혈식석곽묘 내부에 본격적으로 조성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유형의 변화와 성격을 검토해 본 결과, 금관가야 권역 고분군 내의 이단굴광은 4세기 후엽~5세기 초엽에조만강 유역 내 중심고분인 양동리 고분군과 그 주변의 중소형 고분군에서 요상시설과 목관의 안치를 위한별도의 부속 수혈을 조합하여 조영한 관상의 한 부류로 파악된다. 단면 ‘∪’상의 이단굴광은 통나무형의 통나무 목관, 단면 ‘⊔’상의 이단굴광은 조립식 상형 목관의 안치용으로 조영되면서 그에 수반하여 규모, 부속시설, 부장품 질적, 양적인 면에서 유형별로 차등화된다. 즉, 전자는 중소형집단 내 중위계층, 후자는 하위 계층의 사용으로 보편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5세기 중~후엽에는 이단굴광 관상은 고 김해만 중소형 고분군과 교류관계인 창원, 마산으로도 유입되어 소규모 조영되지만 석실의 도입에 따라 쇠퇴, 소멸한다. 이단굴광 관상은 전기가야 관상의 한 계통으로 5세기대 후기가야의 금관가야 권역 내 중소형 고분군 중~ 하위계층 피장자의 묘제로 막연한 ‘친연적 집단’ 혹은 ‘집단 내 위계화에 따른 계층집단’으로만 바라보기 어렵다. 즉, 이단굴광 내 목관의 안치라는 용도적 측면과 목곽, 석곽묘의 규모와 부장유물의 질과 양에서 큰 차등이 보이지 않는 점과 특정 묘역을 이루며 군집된 양상으로 볼 때, 각 분묘 간 상대적인 위계의 가시화가 분명치 않음에도 여러 상이한 방식(지역색)으로도 서열화될 수 있는 포괄적인 종-횡적 성격의 혼계집단 묘제로 파악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urpose, change pattern, and nature of the two-stage excavation light transfusion, which was intentionally excavated at a certain depth in the shape of a slender rectangle on a plan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mb found in Gogimhae Bay, present-day Busan, and Gijang. Various views have been presented, including opinions that identify the two-stage excavation as a kind of ritual transfusion that is used to evenly lay the podium or to destroy it. Among the ancient tombs in Gimhae Bay, I paid attention to the facilities excavated heretically in the burial space of the dead in Yangdong-ri, an early central group before the rise of the group in Daesung-dong. The main feature is a structure that is excavated at a certain depth on a cross-section “⊔” or “∪” in the form of an elongated square plane, and small halite and high-rise stones are regularly installed inside. In addition, we studied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noting that the bent iron and coffin used for binding wood pipes were excavated inside the grave pit. According to Kim Doo-cheol's(2010) study of the Coffin Platform(棺床), a wooden coffin pedestal, among the seedlings of Early Gaya, the Coffin Platform of Yangdong-ri's ancient tombs shows the coexistence of the Recessed floor of a coffin(凹床) and the Daeseong-dong-type the Flat floor of a coffin(平床) in the process of exchange with the external group (Bokcheon-dong). In the case of Yangdong-ri, it is rarely used as an accessory facility for the upper-class tombstones in the center of the hill. Since then, it is believed that the early type of two-stage drilling structure has been built in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starti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two-stage drilling structure in the four-sided and distal-shaped wooden tomb(A2a-style, 394) in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and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built inside the transitional stone tomb of the early 5th centur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ype, the two-stage excavation in the Geumgwan Gaya area is identified as a type of ornamental contrasted by a combination of urinary facilities and separate attached blood transfusions for the rest of woodwinds in Yangdong-ri Ancient Tombs and small and medium-sized ancient tombs in the Jomang River basin in the late 4th and early 5th centuries. The two-level refracting light on the cross-section ‘∪’ is contrasted for the laying of a log-shaped log wood pipe, and the two-level refracting light on the cross-section ‘⊔’ is differentiated by type in terms of size, facilities, quality, and quantity of burial products. In other words, it is presumed that the use of the middle class within the small and medium-sized group in the former and the lower class in the latter. In the mid-to-late 5th century, the two-level refracting light pipe flowed into Changwon and Masan, which were exchanges with the late Gimhae Bay Small and Medium-Sized Ancient Tombs, and was contrasted on a small scale, but it declined and disappear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tone chamber. The two-stage excavation Coffin Platform is a line of the electrical Gaya physiognomy, and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vague “friendly group” or a “class group according to hierarchies within the group” as the grave of small and medium-sized ancient tombs in the Geumgwan Gaya area of Gaya in the late 5th century. In other word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 and quantity of wooden coffin, wooden coffin, stone coffin tomb, and burial relics in two-stage cave mines, and the clustered pattern that forms a specific graveyard. Although the visualization of the relative hierarchy between each tomb is not clear, it is understood as a Heterarchy Group(comprehensive cross-sectional group) grave system that can be ranked in various ways (local colors).

목차

Ⅰ. 머리말
Ⅱ. 목곽·석곽묘 내 이단굴광에 대한 검토
Ⅲ. 주변고분군 사례와의 비교를 통한 분포 양상 검토
Ⅳ. 이단굴광 분묘의 시기별 유형 변화와 성격 고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영석(Youngseok Yoon). (2024).4~6世紀 金官加耶 圈域 古墳群의 二段堀壙 棺床 硏究. 영남고고학, (), 155-194

MLA

윤영석(Youngseok Yoon). "4~6世紀 金官加耶 圈域 古墳群의 二段堀壙 棺床 硏究." 영남고고학, (2024): 155-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