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傳 소형방제동경의 분류와 편년

이용수 14

영문명
Classification and chronology of reported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강찬(Chan Ka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100호, 63~9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원삼국시대 한반도 남부에서 출토된 소형방제동경 중 기존에 주목받지 못하거나, 새롭게 보고된 자료들을 살펴보아 재지내 자체적인 변화 가능성과 일본에서의 일방적인 유입을 재고하는데 있다. 한국 출토 소형방제동경은 금호강 일대에서 선출하는 사례들의 경우 원경과의 모방 정도나 형식 변화를 통해 제작지가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김해 양동리를 중심으로 한 그 외 사례들은 규슈에서의 유입으로 살펴보는 관점이 주류이다. 하지만 한·일 소형방제동경의 향유 양상과 선호 문양 내 차이는 양동리 출토품을 특정지역에서의 일방적인 유입으로 살펴볼 수 없음을 드러낸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傳 국은 및 이건희 기증품 등 새롭게 추가된 자료들을 검토하여 소형방제동경의 향유 중심이 금호강에서 김해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따르면 소형방제동경의 변화양상은 傳 사례들을 추가할 때, 배면내 연호문계권+대형화·광연화의 변화 속 분묘 출토품에서 관찰되지 않던 형식이나 문양 조합이 확인되었다. 또한 보고품에서는 일본 출토품과의 동범 관계나 형태 간 유사 사례를 비교·검토할 때, 소형방제동경의 전체적인 변천 과정에서 한반도 출토 사례 또한 일본처럼 다양하면서도 비정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물건의 형태적 변천에 대해 당시 사회상과 소형방제동경의 변화경향을 반영하여 한반도 남부 출토품의 재지적인 변화가능성과 향유양상을 보완·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possibility of internal change within the region and the one-sided influx from Japan by examining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仿製鏡) excava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at have not previously received attention or have been newly reported. Small-scale bronze mirrors excavated in Korea first appeared in the Geumho River(琴湖江) area, and the place of production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degree of imitation of the imitation of targeted mirror(原鏡) or changes in format in some cases. However, all other examples, centered on Yangdong-ri(良洞里) in Gimhae(金海), are considered to have been imported from Kyushu(九州). The point of view is mainstream.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njoyment patterns and preferred patterns of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reveal that the Yangdong-ri excavated items cannot be viewed as a one-sided influx from a specific region. Based on the above awareness of the problem, newly added materials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enjoyment of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from Geumho River to Gimhae. According to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tern of change in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was not observed in the excavated items of tombs when adding reported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s. Accordingly, in this paper, supplemented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local change and pattern of enjoyment of the southern Korea Peninsula excavations by reflection the trend of changes in society and small-scale imitation bronze mirror at the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자료 검토와 분류
Ⅲ. 비교와 편년
Ⅳ. 傳 사례의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찬(Chan Kang). (2024).傳 소형방제동경의 분류와 편년. 영남고고학, (), 63-97

MLA

강찬(Chan Kang). "傳 소형방제동경의 분류와 편년." 영남고고학, (2024): 63-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