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안 가야리토성의 축조수법 검토
이용수 51
- 영문명
- Research on Construction Method of Ham-an Gayari Earthen Wall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저자명
- 나상현(Sanghyeon Na)
- 간행물 정보
- 『영남고고학』제100호, 127~15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의 가야 성곽 연구에서는 가야에 판축토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가야 성곽인 함안 가야리토성이 판축토성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토성에서 판축법의 적용 여부를 가장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함안 가야리토성의 판축 여부 판단을 중심으로 그축조수법을 검토하였다. 함안 가야리토성은 구간별로 차이를 가지기는 하나, 초축 이후 최대 네 차례의 수축을 거쳤으며 그중 일부 단계는 어느 정도 시간차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공통적인 기법이 각기 다른 단계의 유사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등 단계별 축조수법은 서로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함안 가야리토성의 초축 단계 기단부와 체성부에서는 부분적으로 판축토성과 공유하는 특징이 파악된다. 그러나 상정할 수 있는 협판의 구조 및 사용 방법, 목주 및 그 주변 토층의 관계를 조합해 볼 때, 판축법보다는 층상의 다짐성토를 통해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라 및 백제의 초현기 판축토성과 몇 가지 공통되는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축조기법상 판축토성 고유의 특징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특징들로 볼 때, 함안 가야리토성은 판축토성으로 발전해 나가는 과도기의 성토토성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recognised that there is no stamped earthen walls in Gaya in the existing researches of Gaya fortress. However, recently, it was suggested that Gayari Earthen walls in Ham-an, one the Gaya fortresses, is a stamped earthen walls. In this thesis, the most precise criteria was suggested in advance to judge whether earth stamping was applied in earthen walls. Based on the standard, this thesis examin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Gayari Earthen Walls, and whether it was built in earth stamping method. Gayari Earthen Walls is estimated that it underwent four times of repairment at most and several stages have time intervals, while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ots. However, the construction methods of each stages are assumed to be connected systematically, considering one construction skill appears in the same position of another stage.
In the initial stage, characteristics of stamped earth walls are found in the stereobate section and the wall section. However, considering the supposed structure and usage of wooden boards with the pillars and surrounding layers altogether, Gayari Earthen Walls is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stratified embankment, rather than earth stamping. Especially, it shares some commons with earliest stamped earthen walls of Silla and Baekjae, while it doesn’t have distinct features of stamped earthen walls. Considering these traits, Gayari Earthen Walls is estimated to be embanked earthen wall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stamped earthen walls.
목차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Ⅲ. 함안 가야리토성의 현황과 축조수법
Ⅳ. 판축토성과의 축조수법 비교검토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