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야 출토 초호·초두의 용도와 의미

이용수 17

영문명
Uses and meanings of Kettle and Tripod Cauldron with handle in Gay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양은경(Eun Gyeng Ya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100호, 99~12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야고분군은 2023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가야의 글로벌, 즉 국제성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킬 연구대상으로 금속제 초호ㆍ초두를 주목하였으며, 연구 방법 역시 기물의 정치적인 의미를 추적한 기존의 방식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그릇 본연의 용도를 기준으로 생활음식사적인 의미를 추적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본고는 가야 초호ㆍ초두의 수량적인 그리고 음식사적인 자료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두 기물의 기원지이면서 동시에 음식ㆍ매장의례를 고찰할 수 있는 중국의 사례를 우선적으로 검토한 후 다시 가야로 접근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초호는 중국 전국~위진시기, 특히 한(漢)시기 널리 사용되었으며, 일상용기와 부장용기의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였다. 초호는 술을 데우는데 사용한 기물임을 구체적인 출토지와 출토정황을 제시하며 논지를 전개하였다. 예를 들면, 목곽의 주구고에서 초호가 출토된다거나 화로 용기 안에 담긴 채 발굴되기도 하고 또는 불 맞은 흔적이 확인되거나 초호 안에 술이 담겨 발견되는 일련의 발굴 상황은 초호가 온주기였음을 방증한다. 중국 초호의 용도와 기능을 기초로 가야 초호를 살펴본 결과, 온주기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초두는 형태, 특히 주구(注口)의 유무를 기준으로 Ⅰ․Ⅱ형의 두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Ⅰ형 초두는 취사도구로, Ⅱ형 초두는 온주기로 추정하였다. 특히 Ⅱ형 초두는 남방, 즉 육조에서 크게 유행하였는데, 그 원인으로 육조시기 성행한 청담사상과 도가사상 그리고 한식산을 거론하였다. 가야 초두 중 출토지가 알려진 교동 11호분의 사례는 Ⅱ형에 속하며, 시기는 5세기 후반으로 비정된다. 가야 초두는 중국의 사례를 참고하면 온주기, 광물질 약을 달인 용기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백제, 신라, 가야에서 발견되는 운모, 절구 등은 도가, 선약과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는 배경으로 인해, 가야 역시 불로장생의 개념과 이와 연관된 물품을 요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While interest in the international nature of Gaya has increased since the Gaya Ancient Tombs were register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the fact that it was the only one to dispatch a mission to Nanjing, China in 479 is attracting att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e Southern Dynasties can be confirmed through ceramics and metal containers. However, the two metal containers are still used interchangeably, or the research methodology that only explains the route of translocation and the background of burial in a political sense is facing limitations. Therefore, in an attempt to expand the research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use and meaning of the two metal containers. Kettle with handle(鐎壺) was widely used during the Warring States - Wei and Jin Dynasties, especially during the Han Dynasty, and functioned as both an everyday container and a burial container. Through the study of this paper, we learned specifically that Kettle with handle(鐎壺) was a device used to heat alcohol. A series of excavation situations such as the excavation of a pottery from the main compartment of a wooden box, the excavation of a pottery inside a brazier container, the confirmation of fire marks, and the discovery of alcohol inside a pottery prove that the pottery was of heating alcohol. Based on a series of contents related to Chinese Kettle with handle(鐎壺), the Gaya materials were examin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Kettle from Tomb M5 in Wolsan-ri, Namwon were excavated together with celadon cavities was suggested to be from the heating. This study classified Gaya Tripod Cauldron with handle(鐎斗) into two types, Type I and Type II, based on its shape, especial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ater outlet. Type I candles were considered to be used as cooking utensils, and Type II candles were considered to be used as cooking utensils. In particular, Type II candles were very popular from the Eastern Jin to the Southern Dynasties, and the reasons for their popularity in the Six Dynasties were the Cheongdam(淸淡) ideology, Taoist ideology(道家思想), and Hansiksan(寒食散), which were prevalent in the society of the Six Dynasties. The case of Gyodong Tomb No. 11, the only one among the first tombs of Gaya whose excavation site is known, belongs to Type II, and its date is estimated to be the late 5th century. Based on examples from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it is possible that the Gaya Tripod Cauldron with handle(鐎壺) functioned as a container for heating alcohol, medicinal, and mineral medicine. In addition, mica, mortars, etc. found in Baekje, Silla, and Gaya are linked to Taoism and herbal medicine, so it is possible that the Gaya ruling class also requested the concept of eternal life and its items.

목차

Ⅰ. 머리말
Ⅱ. 초호 용도와 의미
Ⅲ. 초두 용도와 의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경(Eun Gyeng Yang). (2024).가야 출토 초호·초두의 용도와 의미. 영남고고학, (), 99-125

MLA

양은경(Eun Gyeng Yang). "가야 출토 초호·초두의 용도와 의미." 영남고고학, (2024): 99-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