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군 아이덴티티와 마스코트의 시각적 의미 상관성 연구

이용수 29

영문명
Study correlates visual meaning of military identity and mascot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이민아(Min A Lee) 엄기준(Gi Jun Um)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3(통권 32권), 176~190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ㆍ러시아ㆍ일본과, 대한민국 군의 상징물과 마스코트를 분석하여 군 아이덴티티와의 시각적 의미 상관성에 대해 고찰한다. 연구 방법으로 각국 군의 홈페이지를 통해 군 아이덴티티와 상징물을 정리하고, 마스코트의 상징성, 색채, 동작 기호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미군은 강한 이미지의 동물 마스코트를 사용하여 용기와 힘을 강조하며, 러시아는 국가의 권력과 영광을 상징하는 마스코트를 활용한다. 일본 자위대는 평화와 보호를 강조하는 마스코트를 사용하며, 한국군은 국민과의 소통을 위해 친근하고 귀여운 마스코트를 채택하고 있다. 분석 결과, 군 상징물에서 정체성이 표현되는 사례는 많았으나, 군 아이덴티티와 마스코트 간의 매칭이 부족한 경우가 발견되었다. 특히, 일부 군 조직에서는 상징물과 마스코트 디자인이 군의 핵심가치나 임무를 반영하지 않아 정체성과 불일치하고, 이는 군의 외부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결 방안으로 군 아이덴티티를 분석하고, 디자인 과정에서 핵심가치를 명확히 반영하여 마스코트와 상징물의 디자인을 정체성과 일관되게 조정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ymbols and mascots of the U.S., Russian, Japanese, and South Korean militaries, among the power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ilitary identity and visual meaning.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to summarize military identity and symbols through each country's military websites and analyze the symbolism, colors, and gestures of the masco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 military uses animal mascots with strong images to emphasize courage and strength, Russia uses mascots that symbolize national power and glory, Japan's Self-Defense Forces use mascots that emphasize peace and protection, and the South Korean military uses friendly and cute mascot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our analysis, we found that while there are many examples of military symbols expressing identity, there is often a mismatch between military identity and mascots, which can negatively impact a military's brand image and internal cohesion. In particular, in some military organizations, the symbols and mascot designs do not reflect the military's core values or mission, creating an identity mismatch that can negatively impact the military's public image. As a solution to this, we suggest analyzing the military's identity and clearly reflecting its core values during the design process to align mascot and symbol designs with its ident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해외 군대 마스코트의 의미 시각화 분석
4. 국내 군대 마스코트의 의미 시각화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아(Min A Lee),엄기준(Gi Jun Um). (2024).군 아이덴티티와 마스코트의 시각적 의미 상관성 연구 . 한국디자인리서치, 9 (3), 176-190

MLA

이민아(Min A Lee),엄기준(Gi Jun Um). "군 아이덴티티와 마스코트의 시각적 의미 상관성 연구 ." 한국디자인리서치, 9.3(2024): 176-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