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2형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사례 연구 - 20~30대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이용수 34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sign Case of Type 2 Diabetes Application in Korea: Applications that people in their 20s and 30s prefer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송은주(Eun Joo Song) 남원석(Won Suk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3(통권 32권), 164~175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2020년 기준 30대 당뇨병 환자는 12만 1,568명으로 4년 전보다 25.5% 증가하였으며 특히, 젊은 당뇨 환자의 증가율이 20~30대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20대 유병률은 2016년 2만 3,798명에서 2020년 3만 5,005명으로 약 47% 늘어 심각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들은 긴 유병 생활로 인해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므로 꾸준한 관리와 지속적인 정보 취득을 위해 당뇨병 관리 앱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지만, 대다수 앱은 중장년층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있다. 중장년층의 생활환경과 20~30대의 생활환경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은 젊은 세대의 특징상 스스로 당뇨병 관리를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젊은 당뇨병 환자와 40대 이상의 당뇨병 환자들의 경우 생활 환경 사회 환경 등에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부분들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어서 선호하는 디자인이 달라지며 신체적인 상황도 영향을 받게 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주게 된다. 두 대상을 같이 보고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에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두 대상의 격차를 인정하고 기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개발 목적의 대상에서 밀려났던 젊은 당뇨병 환자들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이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젊은 당뇨 환자들이 스스로 당뇨병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20~30대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당뇨 관리 앱의 디자인적 특징을 비교하여 젊은 당뇨 환자에게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해당 논문은 20~30대의 사용 빈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과 기존 당뇨병애플리케이션을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의 접속 횟수를 늘릴 수 있는 재미 요소가 부족하여 젊은 당뇨병 환자들이 지속적인 관리를 도와줄 수 있는 재미 요소의 개발이 요구되어 보인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number of diabetes patients in their 30s stood at 121,568 as of 2020, up 25.5% from four years ago. In particular, the prevalence of young diabetes patients in their 20s increased by 47% from 23,798 in 2016 to 35,005 in 2020. They are at high risk of complications due to their long disease life, so the importance of the diabetes management app is drawing attention for steady management and continuous information, but most apps are being developed focused on middle-aged people. There is inevitably a difference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of middle-aged people and those in their 20s and 30s,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has a high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t is difficult to manage diabetes on their own. For young diabetics and diabetes patients in their 40s or older,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area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 living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so the preferred design will change and the physical situation will be affected, which will affect the user interface. Looking at the two objects together and developing diabetes applications will inevitably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Recognize the gap between the two targets and see the need for applications used by young diabetes patients who have been pushed out of development targets, not applications for existing middle-aged people.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a basic study for developing applications suitable for young diabetes patients by comparing applications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ith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diabetes management apps in order to develop applications that can help young diabetics manage diabetes on their own. The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existing diabetes applications in their 20s and 30s. Currently, for diabetes applications, there is a lack of fun factors that can increase user access, leading to the need to develop fun factors that can help young diabetics manage continuousl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젊은 당뇨병과 어플리케이션
4.사례연구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2형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사례 연구 - 20~30대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 플로팅 건축을 활용한 공간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공디자인 대상으로서 공공공간의 해석과 적용실태 분석
- Is Full Bright Smile a Positive Factor for Higher WTP?: Evidence from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Integrated Effects of Salesperson’s Non-verbal Behavior
- AHP-FCE를 활용한 중국 피난안내도 최적화 설계 연구 - Chung Hua University(CHU) 도서관을 중심으로
- CiteSpace에 기반한 중국 대운하 문화상품 디자인 특성 및 트렌드 분석 연구
- BERTopic과 색채분석 기반 감성 추출을 이용한 관광지 추천 시스템 개발
- 경차 브랜드의 헤드라이트에 적용된 디자인 조형성이 소비자 만족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K-means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야오족 자수 색상 추출 및 가상 캐릭터 의상디자인 응용
- ESG관점의 세라믹 폐자재 설계 재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 NFT 미술작품 가치 평가 기반하의 랭크 프레임워크 연구
- 구미시 시민참여 공공서비스디자인 워크숍 사례와 의의 연구
- UX 라이팅 비전문가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 군 아이덴티티와 마스코트의 시각적 의미 상관성 연구
- 동두천 정체성 리브랜딩 전략 방안
-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 아포페니아(apophenia) 이미지의 광고 효과와 유형별 사례
- 대중음악과 색채 이미지를 활용한 통합교육이 중학생의 음악수업 흥미도와 공감각적 표현에 미치는 효과
- 디자이너 메이커 제품으로의 창업활용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용역 디자인을 넘어서는 창의적 가치 창출 전략
- 디자인 씽킹을 적용한 친환경 건축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예술·체육 활동 적용을 중심으로
-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주민참여 지역재생 사업 사례 조사 - 부여군 사례를 중심으로
- 미래 이슈에 대한 문제 해결력 함양을 위한 디자인픽션 활용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 바이오디자인의 변화와 확장 가능성 고찰 - 최근 5년간의 변화에 한정하여
- 버추얼 프로덕션을 위한 IMU 모션캡쳐 정확도와 활용에 대한 고찰
- 디자인이 연구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성공 사례 분석
- 북유럽 지역의 제품 디자인 특성 분석을 통한 뱅앤올룹슨 오디오 제품 디자인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사회 문화적 변화의 관점에서 본 1950년대 미국 주방 디자인과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
- 사회초년생의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제안
- 사회적 가치 측면 ESG 전략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역할
- 생태박물관 개념에 기초한 민족복식문화 전시특성 연구 - 중국 귀주(貴州) 검동남(黔東南)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시니어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요인 도출 - 에스노그래피 리서치를 중심으로
- 수묵(⽔墨) 기법을 응용한 티타늄 구조색 발색 기법 연구
- 스포츠 브랜드 매장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사랑에 미치는 영향 -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시각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그림책 시퀀스 의미 연구 - 볼로냐 라가치상 수상작 중심으로
- 아파트 관리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 비교·분석 연구 - 국내 아파트 앱을 중심으로
- 실감형 미디어아트의 시각 의미 연구 - 디스트릭트(d’strict) 작품을 중심으로
- 어린이 놀이 학습 공간의 감성적 특성을 활용한 학원 공간 설계
- 앱 리뷰 데이터 분석 기반 UX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위한 로봇 UX디자인에 대한 고찰
- 자전거 교통안전표지 시인성 개선을 위한 연구
- 자막 제공 서비스 앱의 UI/UX 개선 연구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자동 생성 앱 ‘이어줌’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제안
- 지등 문화상품 도안에서 조선후기 풍속화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제품 디자인을 위한 선행특허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 능동 음파 센서 노면 상태 감지시스템 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 집합주택의 공간계획을 위한 교육콘텐츠 선호도연구
- 장르에 따른 웹툰의 공간 표현 특성 연구 - 네이버 웹툰 장르 구분을 기준으로
- 지속가능성을 위한 텍스타일디자인 산업의 도전과 혁신사례 연구
- 커뮤니티 공공 공간 고령자 적합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커뮤니티 양로 모델으로
- 친환경 화장품 브랜드의 경험디자인 구성요소 사례 연구
- 친수공간 태양광 LED 경관조명 디자인 및 방수성능에 관한 실증연구
- 폐도자기 업사이클 디자인의 가치요소가 소비자 태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VAB 모델을 기반으로
- 패키지디자인의 맥시멀리즘 표현속성이 감성 소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안관광도시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비교분석 - 중·한 해안관광도시 중심으로
- 포스트모던 박물관 시대에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 살아있는 전시 방안 연구
- 협업의 덕목을 통한 디자이너 갈등의 역기능 해소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