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두천 정체성 리브랜딩 전략 방안

이용수 62

영문명
Dongducheon Identity Rebranding Strategy Plan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이승환(Seung Hwan Lee)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9, No. 3(통권 32권), 205~21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두천 지역은 60%가 군사지역으로 산업과 지역 경제에 많은 제약을 받고 70여년간 정체된 도시 이미지를 갖고 있다. 주한미국 평택이전 계획 이후 동두천 지역경제의 축을 담당했던 미군이 빠져 나가면서 지역 경제는 더욱 침체되고 정주 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한미군 이전에 따른 동두천이 갖는 군사지역, 기지촌 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새롭게 스토리텔링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동두천 지역브랜딩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동두천 곳곳의 갖고 있는 자원과 스토리를 아카이브화하고 현대사인 히스토리를 새로운 시각으로 스토리텔링하여 안보를 위한 희생의 지역정체성을 현대사에서 희생된 여성의 인권을 존중하고 락문화의 발상지를 활성화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존중하는 도시 정체성을 리브랜딩하여 낙후된 도시이미지를 재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제안한다.

영문 초록

60% of the Dongducheon area is a military area, which has been stagnant for over 70 years due to many restrictions on industry and local economy. After the plan to relocate to Pyeongtaek, Korea, the U.S. military, which was in charge of the axis of the Dongducheon local economy, has been withdrawn, further stagnating the local economy and reducing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e country. In this study, we propose to rebrand the Dongducheon area by actively utilizing the negative image of Dongducheon as a military area and base village after the relocation of the U.S. troops in Korea. To this end, we propose to re-establish the image of an underdeveloped city by rebranding the local identity of the sacrifice for security, respecting the human rights of women sacrificed in modern history, and revitalizing the birthplace of rock culture.

목차

1. 서론
2. 동두천 배경
3. 동두천 브랜드 발전 구상
4. 제언과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