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혼합형 글쓰기 수업 사례
이용수 145
- 영문명
- Case of Mixed Writing Class: Focused on the Jeju National University’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허원영(Won-young Heo) 조유영(Yu-young J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7輯, 413~43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crete case of actual operation of a mixed writing class. A mixed writing class is a writing class that applies the Hi-Edu model. The Hi-Edu model is a mixed of several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environments. Meanwhile, the 2024 Jeju National University’s course was designed and operated as a mixed writing class that applied the third type of Hi-Edu model, which takes the teaching method of problem-based learning to the teaching environments of flipped learning and distance learning. After actually operating the mixed writing class and comparing it with the case of the 2023 in which the same course was taught as a general writing class, the following differences were confirmed. First, more students took the mixed writing class than the general writing class. Second, the mixed writing class had a higher learning pass rate than the general writing class. Third, students' class satisfac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xed writing class and the general writing class. In addition, the instructor's distance learning capabilities and cooperation with companies to ensure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seemed to be factors in successful mixed writing clas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혼합형 글쓰기 수업 사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연(自然)과 문화(文化)의 대결담으로서 <호랑이와 곶감> 설화의 이해
- 문화적 이질성을 초월한 페미니즘
- 포스트식민적 망각에서 포스트메모리로
- <춘향전> 관련 문헌설화의 유형
- 김정은 시기 북한희곡에 나타난 위기 극복 담론과 극적 재현
- ‘더듸다’의 특성과 변화 연구
- [마음], [머리], [성격]의 속성과 의미특성 분석
- <양산백전>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기능
- 박완서 노년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과 저항 가능성
- 혼합형 글쓰기 수업 사례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 PPT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발표 분석 연구
- 『華語類抄』(1883)에 수록된 어휘의 華音表記 연구 -성모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第127輯 목차
- 김종삼 시의 영화 이미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