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自然)과 문화(文化)의 대결담으로서 <호랑이와 곶감> 설화의 이해
이용수 208
- 영문명
- Understanding the Tale of “the Tiger and the Persimmon” as a Story of Nature vs.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황윤정(Yun-jeong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7輯, 147~190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sed on the cultural nature of food,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Tiger and the Persimmon” tale as a battle between nature and culture dressed up as an funny story. 'Raw' and 'cooked' represent the opposi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In this context, 'food' means the confronta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depending on the recipe, and has the potential to speak of the dominance of culture. In the story the persimmon is a 'food' that is culturally processed from natural ingredients, and if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ger' and the 'persimmo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ulture,' we can read it as a story about the confronta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and human wisdom. In the story of “The Tiger and the Persimmon,” the tiger, which is trying to eat humans, is placed in the category of “nature” that threatens humans and is opposed to humans. The persimmon, which is a product of culture, chases away the tiger that invades the human territory, and the persimmon is replaced by the thief. The cultural attributes of the persimmon are passed on to the thief, who defeats the terror of nature in a wise way. The unexpectedness of the tale of 'dried persimmon stronger than a tiger' provokes laughter, but it also subverts the long-standing relationship of power and weakness between tigers and humans, and makes the idea of 'humans stronger than tigers' plausible. So while the tale has the veneer of a funny story, it's really a story about human culture's struggle with nature, which has always had the upper hand.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음식의 문화적 의미 및 설화와의 관련성
3. ‘호랑이’, ‘곶감’, ‘인간’ 간 대결의양상
4. 소화(笑話)의 외피(外皮)를 쓴 자연과 문화의 대결담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연(自然)과 문화(文化)의 대결담으로서 <호랑이와 곶감> 설화의 이해
- 문화적 이질성을 초월한 페미니즘
- 포스트식민적 망각에서 포스트메모리로
- <춘향전> 관련 문헌설화의 유형
- 김정은 시기 북한희곡에 나타난 위기 극복 담론과 극적 재현
- ‘더듸다’의 특성과 변화 연구
- [마음], [머리], [성격]의 속성과 의미특성 분석
- <양산백전>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기능
- 박완서 노년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과 저항 가능성
- 혼합형 글쓰기 수업 사례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 PPT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발표 분석 연구
- 『華語類抄』(1883)에 수록된 어휘의 華音表記 연구 -성모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第127輯 목차
- 김종삼 시의 영화 이미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