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완서 노년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과 저항 가능성
이용수 184
- 영문명
- Self-Care and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in Park Wan-seo's Old Age Novels: Focusing on 「When the Long and Boring Movie Is About to End」 and 「Broad-minded tabl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미영(Mi-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7輯, 191~22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subjectivity of elderly women who practice self-care even while under oppression. It also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resisting power in different ways to protect elders’ autonomy. In Park Wan-seo's novels, elderly women choose speech and self-transformation as counter-subjugation strategies. These women build themselves up through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performing care.
In 「When the Long and Boring Movie Is About to End」and 「Broadminded table」, the provision of self-care to escape subjugation is depicted through care situations. 「When the Long and Boring Movie Is About to End」 attempts to demystify the elderly body through characters’ speech. By revealing their vulnerable bodies, they articulate the need for care physically, and in doing so, they resist the attempts to control and exclude the ailing elderly body and thus gain autonomy.
「Broad-minded table」depicts elderly characters who advance to self-care through self-transformation during the performance of care. By choosing “parenthood,” they not only preempt affective equality but also gain autonomy from social oppression. Furthermore, by attempting self-transformation for the purposes of desubjugation and subjectification, they advance towards self-care and healing from loss.
If self-care is performed on the premise of the mutuality of care, the shame and fear of receiving care can be transformed into pride. In this sense, Park Wan-seo's portrayal of the elderly in her later novels is significant as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elf-care.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돌봄 의존성의 인정과 ‘아픈 몸’으로 ‘말하기’
3. 상호 돌봄을 통한 결속과 자기 변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第127輯 목차
- 문화적 이질성을 초월한 페미니즘
- ‘더듸다’의 특성과 변화 연구
- [마음], [머리], [성격]의 속성과 의미특성 분석
- <춘향전> 관련 문헌설화의 유형
- <양산백전>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기능
- 자연(自然)과 문화(文化)의 대결담으로서 <호랑이와 곶감> 설화의 이해
- 김종삼 시의 영화 이미지 연구
- 김정은 시기 북한희곡에 나타난 위기 극복 담론과 극적 재현
- 박완서 노년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과 저항 가능성
- 혼합형 글쓰기 수업 사례
- 포스트식민적 망각에서 포스트메모리로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 PPT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발표 분석 연구
- 『華語類抄』(1883)에 수록된 어휘의 華音表記 연구 -성모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