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춘향전> 관련 문헌설화의 유형
이용수 138
- 영문명
- Types of Literature Stories related to Chunhyangje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도형(Do-h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7輯, 91~11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ypes of literature narrative related to “Chunhyangjeon” in terms of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 composition, event development, and problem-solving method.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 the criteria for judging a literature narrative similar to “Chunhyangje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a connection disorder or a marriage disorder when looking at conflict as the center as a love story between a man and a woman that transcends status. Second, the process of meeting and parting-reconceiving is essential. Third, there must be a difference in the status of men and women. Fourth, women must decide their own destiny and pioneer it. Fifth, in order to resolve the connection disorder caused by differences in status, there must be a change in women's passion or inner support. Sixth, there must be a change in women's social status. Seventh, it forms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triangular relationship. This does not mean that all of these criteria must be contained in one work, and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for each individual work. The literature narrative related to “Chunhyangjeon” that met these criteria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tus and ability of women and the degree of social achievement of men. The most basic distinction factor was women's status and was broadly divid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bility of women to recognize a person's future. and finally, it was divided into secret royal inspector type and non-secret royal inspector typ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ocial achievement of men. In the actual work,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commoner-affiliated foresight-secret royal inspector type and foresight-non secret royal inspector type.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춘향전> 관련 문헌설화의 범위
3. <춘향전> 관련 문헌설화의 양상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연(自然)과 문화(文化)의 대결담으로서 <호랑이와 곶감> 설화의 이해
- 문화적 이질성을 초월한 페미니즘
- 포스트식민적 망각에서 포스트메모리로
- <춘향전> 관련 문헌설화의 유형
- 김정은 시기 북한희곡에 나타난 위기 극복 담론과 극적 재현
- ‘더듸다’의 특성과 변화 연구
- [마음], [머리], [성격]의 속성과 의미특성 분석
- <양산백전>에 나타난 꿈의 양상과 기능
- 박완서 노년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과 저항 가능성
- 혼합형 글쓰기 수업 사례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 PPT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발표 분석 연구
- 『華語類抄』(1883)에 수록된 어휘의 華音表記 연구 -성모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第127輯 목차
- 김종삼 시의 영화 이미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