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동문의 구성과 의미에 대한 연구

이용수 86

영문명
A Study on Formation and Meaning of Causative Sentences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송홍규(Hong Kyu Song)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15호, 439~45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사동문의 형식적 구분과 의미적 구분에 대해 살펴보며, 장형 사동과 단형 사동의 특성 및 간접 사동과 직접 사동의 특성을 고려하며 그들 사이의 연관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제적인 자료들을 점검해 보면서 단형 사동에는 직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유형과 간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유형이 모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단형 사동에는 간접 사동과 직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유형의 분류가 가능하지만, 최소한 단형 사동형이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의 의미를 모두 지니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또한 단형 사동형은 간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유형과 직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지만, 하나의 단형 사동이 간접 사동과 직접 사동의 의미를 함께 지니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구분은 단형 사동형과 수혜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용언 ‘주다’와의 결합 가능 여부를 통해 가능했다. 위의 관찰을 통해 본고에서 단형 사동형 중에서 직접 사동의 의미를 지니는 유형에는 ‘주다’의 결합이 가능하고, 간접 사동의 의미를 지니는 유형에는 ‘주다’의 결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특이한 것은 간접 사동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장형 사동형 ‘-게하다’에는 ‘주다’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주다’가 결합하는 장형사동문은 ‘사동’의 본래의 의미를 표현한다기보다는 ‘허용’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이하게도 이들 허용문에서 장형 사동의 형태는 단형 사동의 형태로 교체될 수 있는데 그것은 단형 사동형이 직접 사동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관찰을 통해 단형 사동이면서 직접 사동을 나타내는 사동 표현들은 원래 장형 사동과 형식이 유사한 허용문의 구성 방식을 유지하다가 단형 사동의 형식으로 바뀌면서 형성된 것으로 주장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long-form and short-form causativ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 and indirect causatives based on the distinctions between causatives related to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By investigating the raw data of causative sentences, we can figure out that the short-form causative can be divided into indirect and direct causatives, but we can also understand that there is no causative sentence that has meanings of both indirect and direct causation. Furthermore, we also figure out that the short-form causative can be divided into indirect and direct causative sentences, but it is not proven that a short-form causative sentence can be used for expressing indirect and direct causation simultaneously. The type distinction mention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co-occurrence relation between short-form causative and the beneficiary Korean verb ‘juda’. Based on the observation reported above, it is claimed that the type of causative that can co-occur with the beneficiary verb ‘juda’ is actually the direct causative, meaning the indirect causative cannot co-occur with ‘juda’. However, an unusually long-form causative used with ‘-ge ha’ can co-occur with ‘juda’. Actually, it is well known that the long-form causative that can co-occur with ‘juda’ does not express the meaning of causation but rather expresses the meaning of permission. The long-form causative used in a permissive sentence is unusually replaced with the short-form causative, but this is only possible in the case in which the short-form causative expresses the meaning of direct causation. Based on this observation, it can be claimed that the causative form that is a short-form causative expressing the meaning of direct causation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permissive sentence in which a long-form causative is used, and since the long-form causative was later changed to the short-form causative, the permissive sentence changed to the short-form causative and became to exist as it is now.

목차

1. 서론
2. 사동문의 형식적인 구분: 장형(통사적) 사동과 단형(형태적) 사동
3. 사동문의 의미적 구분 : 간접 사동과 직접 사동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홍규(Hong Kyu Song). (2024).사동문의 구성과 의미에 대한 연구. 지식과 교양, (), 439-457

MLA

송홍규(Hong Kyu Song). "사동문의 구성과 의미에 대한 연구." 지식과 교양, (2024): 439-4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