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복지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The Adaptation of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숙애(Suk-Ae Lee) 최세영(Se-Yeong Choi) 김용진(Yong-Jin Kim) 강희숙(Hee-Sook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4, 257~2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적응을 연구하고자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2012년 4월부터 6월까지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4명을 심층 면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137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요양보호사 적응의 중심현상은 ‘근로의욕의 상실’로 분석되었으며, 인과적 조건은 ‘자존심 상함’, ‘동료와의 갈등’으로, 맥락적 조건은 ‘사회의 왜곡된 인식’, ‘열악한 처우’로, 중재적 조건은 ‘의사소통의 부재’, ‘버팀목’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은 ‘승화시키기’, ‘자부심’, ‘성취감’으로, 결과는 ‘인내하기’, ‘전문가로 거듭나기’, ‘평생직업으로 수용하기’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을 통한 요양보호사의 적응과정은 ‘억압기’, ‘좌절기’, ‘승화기’, ‘인정기’, ‘정착기’로 구분되었다. 요양보호사 적응의 핵심범주는 ‘열악한 근로환경에서의 의욕상실을 딛고 전문가로 거듭나기’로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요양보호사들의 과다한 업무와 전문성의 한계, 이직에 대한 위기 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동료들의 이기적인 행동과 관리자의 독선적 운영에서 오는 소통부재는 근무과정에서 상당히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 업무에 대해 명확한 지침의 필요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의 활성화 제시는 물론 요양보호사들이 적응과정에서 갈등을 하게 되는 이직과 평생직장에 대한 희망에 따른 소망을 이루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 직업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daptation of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by utilizing the grounded theory-based approa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2 until June 2012 from 14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137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rawn. The central phenomenon on the adaptation of the care helpers was analyzed as the 'loss of motivation at work' the causal conditions as 'wounded pride' and 'conflicts among co-workers,' the contextual conditions as a 'twisted perception from society' and 'inadequate treatment', and the intervening conditions as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support.'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sublimation,' 'self-respect,'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consequences were 'perseverance', 'reborn as an expert,' and 'acceptance as a permanent job'. The adaptation processes of the caregivers were categorized as the 'frustration period,' 'sublimation period,' 'acceptance period,' and 'settlement period.' The core category about the adaptation of the caregivers was 'reborn as an expert overcoming loss of motivation in a poor working environment'. The researcher suggests the necessity of clear guidelines and the expansion of education to establish professionalism for the tasks of caregiver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선천성면역결핍질환아 간호과정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 부모의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부모역할 행동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독거여성노인의 스트레스가 무망감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복지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위기가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 사위의 가족지향성이 장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복지관의 북한이탈주민가족 사례관리모델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성인입양인의 친생가족 상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복지사의 자아분화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