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천성면역결핍질환아 간호과정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Family Members over Time with the Nursing Process of Children with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박태영(Tai-Young Park) 문정화(Jung-Hwa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4,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면역결핍질환아 간호과정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족구성원들이 당면하게 되는 어려움과 그 차이가 무엇인지를 파악함으로써 환아의 가족구성원들을 위한 임상사회사업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후 2개월부터 7년간 아들의 불치병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딸의 문제와 부부갈등으로 인해 가족상담을 의뢰하여 총 13회기 동안 진행된 가족치료 사례를 Miles와 Huberman(1994)의 질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가족들의 어려움을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을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족구성원들의 어려움과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모의 경우 불안정한 생활로 인한 삶의 질 저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남편에 대한 원망감, 다른 자녀와의 정서적 교류 부족과 스트레스, 아들을 보내려는 마음과 망설임, 부의 경우 술·담배·성적 욕구 참아내기, 압박감과 구속감으로 인한 피곤한 일상, 우회적 감정 투사로 스트레스 해소하기, 피곤한 일상에서 탈피하고 싶은 유혹, 아들의 생명 운명에 맡기기, 다른 자녀의 경우 이분화된 부모와의 관계 유지, 부부갈등 상황에서의 희생양, 허술한 둥지에서의 외로움, 외현적 문제행동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천성면역결핍질환아 가족들이 직면하는 복합적인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시 및 실질적인 임상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clinical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through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which family members experience in the nursing process of children with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The study analyzed a family therapy case in which the parents had requested family counseling due to their marital conflict and their daughter's problems, which had arisen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ir seven-year-old son's incurable disease since he was from 2 months old. The data consisted of recorded transcripts and notes taken during 13 family therapy sessions, which included individual, couple, and family counseling sessions. The study analyzed the mother's experiences, father's experiences, and the sibling's experiences by utilizing the matrix & network developed by Miles and Huberman (1994).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mother's experiences to be as follows: resentment toward a disappointing husband, the lack of emotional transactions with the other child and stress, thoughts of leaving her son and hesitancy, and degradation in the quality of life due to an unstable life. Second, the study found the father's experiences to be as follows: relief of stress by detouring emotional projection, leaving the son's life up to destiny; suppressing the desire for drinking, smoking and sex; a tiring daily life due to pressure and restrictions; and the temptation to escape from this tiring daily life. Final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e sibling's experiences to be as follows: keeping a divided relationship between her parents, becoming a scapegoat in the situation of parental conflict, anxiety in the situation of parental conflict, loneliness in the lax nest, and the externalization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problem behavi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clinical interventions to prevent and solve the complex problems encountered by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선천성면역결핍질환아 간호과정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 부모의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부모역할 행동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독거여성노인의 스트레스가 무망감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복지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위기가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 사위의 가족지향성이 장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복지관의 북한이탈주민가족 사례관리모델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성인입양인의 친생가족 상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복지사의 자아분화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