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기가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The Study on Experiences of Crisis Family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박정윤(Jeong-Y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4, 35~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위기가족이 겪는 어려움과 위기극복자원, 외부로부터의 지원욕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위기가족 지원서비스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총 14사례의 위기경험가족을 3개월에 걸쳐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내용분석을 통해서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위기가족이 겪는 어려움은 개인적 차원에서는 부정적 정서 상태와 일탕행동이 나타났으며 가족차원에서는 가족관계가 소원해지며, 질병발생과 돌봄 부담이 증가하였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지지체계의 부족과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음을 호소하였다. 둘째 피면접자들이 가진 위기대처자원으로는 긍정적 생활태도와 미래에 대한 희망의 개인적 자원, 가족의 유대감과 부모로서의 책임감, 원가족 으로부터의 지지와 같은 가족자원, 공식·비공식적 지원체계의 사회적 자원보유가 위기극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위기가족이 원하는 외부적 지원으로는 개인적으로 위기대처능력과 자활을 위한 지원, 정서적 지원을 받기를 희망하였고, 가족차원에서는 돌봄 지원과 경제와 주거생활의 기초생활지원 확대, 의료지원 확대를 기대하였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현재의 정책홍보, 위기에 대한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될 수 있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oday's complex and diversified society and unpredictable situations often occur; however it is increasingly the case that families are unable to respond the appropriately in a cris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problem, coping resources, support needs of crisis family and to develop alternatives for crisis family.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by in-depth interview with half-structure questions for 2 hours of 14 families who had experienced a cri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e families in crisis were negativity, emotional responses, deviant behaviors, financial problems, distanced relationship, disease diagnoses, the increased burden of caring for family members, social prejudice, and a lack of social support resources. Second, the coping resources of families in crisis were having a positive attitude about life, having hope for the future, being responsible parents, receiving support from extended family and formal or informal support systems. Third, the support needs of the families in crisis were supports for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crisis; supports for self-sufficiency skills, the expansion of economic support, medical support and housing support, the support of child care, emotional support; the promotion of policy and the active intervention of gover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선천성면역결핍질환아 간호과정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 부모의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부모역할 행동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독거여성노인의 스트레스가 무망감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복지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위기가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 사위의 가족지향성이 장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복지관의 북한이탈주민가족 사례관리모델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성인입양인의 친생가족 상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복지사의 자아분화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