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ve Variables of International Women as Marriage Immigrant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최정혜(Jeong-Hye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4, 153~1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수집은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 256명이 질문지법으로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분석, 일원변량분석, 독립표본 t-검증, Tukey사후검증, 회귀분석 등이 적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7점 만점 척도에 평균 5.03점으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임을 보였다. 둘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차이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연령, 학력, 출신국, 종교유무, 남편의 학력, 직업, 월수입 정도, 자녀수, 가족형태 등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이, 결혼정보 변인으로는 결혼정보 일치 정도가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생활 적응변인으로는 부부의 연령차이, 아내의 한국어 수준, 자녀와의 의사소통 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남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결혼정보 일치 정도 변인이며, 다음으로 남편의 학력, 자녀수, 아내의 한국어 수준, 남편의 직업 등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ve variables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Can be used to find a reasonable solution to enhance their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The subjects were 256 international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and lived in the Gyeongnam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degree of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was found to be 5.03, when the maximal value of marital satisfaction was set to 7.0. The score of 5.03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enough to have a pleasant family life in Korea.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depended on the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couple. The happiness of their family was determined not only by the difference of the woman's age, nationality, education level, and religion, but also by the education level of the husband as well as his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and familial type, and so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 caus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n this field was the self-esteem of the women. Also,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her husb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differenc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international women.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women living in the Gyeongnam area as marriage immigrants was the degree of preliminary information of her husban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선천성면역결핍질환아 간호과정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 부모의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부모역할 행동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독거여성노인의 스트레스가 무망감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복지시설 근무 요양보호사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위기가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 사위의 가족지향성이 장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복지관의 북한이탈주민가족 사례관리모델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국내 성인입양인의 친생가족 상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사회복지사의 자아분화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