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체장애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Physically Disabled Women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김소진(So-Jin Kim) 양정빈(Jung-Bin Yang)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4, 63~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체장애 여성들의 양육경험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사회 복지적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D시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여성 11명을 대상으로 2011년 2월부터 9월까지 약 8개월에 걸쳐 심층 인터뷰를 시도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총 136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로 상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여성장애인의 양육경험의 중심 현상은 ‘위축’이었으며, 인과적 조건은 ‘양육에서의 한계 경험’, 심리내적 조건은 ‘미안함’, ‘노심초사’, 환경적 조건은 ‘장애인에 대한 편견’, ‘경제적 상황’, ‘지지체계’,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최선을 다하는 나’, ‘가족 간의 상호작용’, ‘장애수용에 대한 인식제고’, 마지막으로 결과는 ‘승화된 장애’, ‘해소되지 않는 굴레’로 각각 상정되었다. 또한 지체장애 여성들의 양육 경험의 핵심 범주는 ‘미안함을 채워주기 위한 노력 속에서 승화된 장애’로 상정하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여성장애인의 양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지지체계의 활성화, 자녀의 나이를 고려한 생애주기 양육 지원 체계의 구축, 그리고 역량강화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physically disabled mothers and to suggest appropriate social work interventions for alleviating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the nurturing process. In-depth interviews with 11 participant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1. The qualitative data that were collected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The analysis of the data resulted in 136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A theoretical model of exploring the meaning of child-rearing among physically disabled mothers showed six major factors as follows: “withdrawal” as a phenomenon; the “experiencing of limitation in mothering” as a causal condition; “remorse” and “constant worries” as psychological conditions; “prejudice toward disabled women”, “financial situation”, and “social supports” as contextual conditions; “putting forth every ounce of my energy”, “interactions among family members”, and “enhancing the recognition of disability acceptance” a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e “sublimation of disability” and “unsolved restraint” as the consequences of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inally, “sublimating disability in an attempt to compensate for remorse” was the core category in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physically disabled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suggested several social work implications such as enhancement of social recognition toward disabled mothers, the activation of social supports, the development of child-rearing support systems based on a life-cycle perspective, and the development of empowerment programs for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진(So-Jin Kim),양정빈(Jung-Bin Yang). (2012).지체장애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7 (4), 63-86

MLA

김소진(So-Jin Kim),양정빈(Jung-Bin Yang). "지체장애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7.4(2012): 6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